제282회(제2차정례회)
총무위원회회의록
제5호
문경시의회사무국
일 시 2024년 12월 9일(월) 10:00
장 소 총무위원회실
- 의사일정
- 1. 2025년도문경시일반회계및기타특별회계세입세출예산안(계속)
- 2. 2025년도문경시총괄기금운용계획안(계속)
- 심사된안건
- 1. 2025년도문경시일반회계및기타특별회계세입세출예산안(계속)
- 2. 2025년도문경시총괄기금운용계획안(계속)
- 가. 보건소
- 1) 보건사업과
- 2) 건강관리과(기금포함)
- 나. 문화예술회관
(10:00 개의)
○위원장 남기호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82회 문경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5차 총무위원회를 개의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도 본 위원회에 참석해 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보건소 보건사업과, 건강관리과와 문화예술회관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예비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님 여러분과 관계 공무원 여러분께서는 의사진행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82회 문경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5차 총무위원회를 개의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도 본 위원회에 참석해 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보건소 보건사업과, 건강관리과와 문화예술회관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예비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님 여러분과 관계 공무원 여러분께서는 의사진행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의사일정 제1항 2025년도 문경시 일반회계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과 의사일정 제2항 2025년도 문경시 총괄기금운용계획안을 일괄 상정합니다.
먼저 보건사업과 소관 예산안을 예비심사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보건사업과 소관 예산안을 예비심사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보건사업과장님 발언대로 나오셔서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보건사업과장 권상명입니다.
평소 보건사업과 업무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시는 남기호 총무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보건사업과 소관 2025년도 세출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71페이지입니다.
보건사업과 총예산액은 71억 1,096만 9천 원으로 전년보다 14억 4,724만 5천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사업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건행정서비스 제공으로 보건지소, 진료소 관리를 위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일반운영비, 여비, 자산취득비로 1억 1,1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2페이지입니다.
보건청사 운영비로 인건비, 일반운영비, 업무추진비, 보건기관 개선을 위한 시설비 등에 5억 153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3페이지입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에 따른 인건비, 일반운영비, 여비, 일반보전금으로 5,801만 9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4페이지입니다.
시립문경요양병원 문경기능성온천 활용방안 연구용역비로 1,900만 원과 병실 내 세면대 설치 등 시설비 및 자산취득비로 2억 8,159만 5천 원을 편성하고 지특사업으로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방역소독기 및 진료소 약품 포장기 구입 등에 2,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5페이지입니다.
국비지원사업으로 공립요양병원 치매환자 지원 프로그램 운영비 1억 600만 원,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이전신축한 산북보건지소 이사용역비, 휀스 설치 및 집기비품 구입비로 1억 2,05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75페이지 하단부터 476페이지 중간까지의 감염병 확산 방지입니다.
감염병 예방사업을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의료 및 회복비, 자산취득비로 7,189만 6천 원을 편성하고 의료 관련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180만 원, 신종감염병 예방지원사업 6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77페이지입니다.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일반보전금 의료 및 회복비로 4,675만 1천 원을 편성하고 결핵 조기 발견을 위한 일반운영비, 의료 및 회복비로 243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8페이지입니다.
결핵환자 관리를 위한 입원 명령 대상 환자 지원비 125만 2천 원, 결핵 역학 조사비 521만 4천 원, 결핵환자 가족 접촉자 조사비 등으로 106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9페이지입니다.
결핵 고위험군 등 취약계층 결핵 및 잠복 결핵 감염관리비로 1,832만 2천 원, 의료기관 결핵환자 관리 지원 3,881만 2천 원, 보건소 결핵관리사업 인력운영비 7,769만 2천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480페이지입니다.
보건소 결핵환자 검사 및 진단 지원비 547만 5천 원, 예방접종사업 인건비, 홍보물 제작비, 여비, 대상포진 등의 약품구입비로 1억 311만 7천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481페이지입니다.
어린이 예방접종비 3억 8,154만 6천 원, 60개월부터 12세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비 6,383만 4천 원, 13세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비 841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2페이지입니다.
임산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비 334만 2천 원, HPV 1차 접종 완료자 및 미접종자 예방접종 1,145만 4천 원, 성인 예방접종비 6억 7,551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3페이지입니다.
B형 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접종 사업 127만 4천 원, 선택예방접종 지원사업 2,131만 7천 원,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비 2억 2,528만 2천 원, 한센인 피해사건 피해자 생활지원 3,4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4페이지입니다.
한센 간이양로주택 운영지원 4,960만 원, 재가한센인 생계비 지원사업 1,673만 원, 에이즈 감염인 진료비 1,300만 원, 원자폭탄 피해자 요양생활 수당 지원 2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5페이지입니다.
코로나19 백신구입비 8억 4,216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의약무 지원입니다.
의약무 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일반보전금으로 3,211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6페이지입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1억 4,000만 원,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7,926만 6천 원, 재가진폐환자 의료비 지원 2억 6,880만 원, 폐의약품 회수 홍보사업 3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7페이지입니다.
신속대응반 운영 지원사업 199만 원,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운영지원 3억 7,000만 원,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지원 1,120만 원, 소비자 의료기기 감시원 활동비 12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88페이지 암환자 가발 구입비 지원 500만 원, 응급환자 이송비 지원 500만 원, 공공 야간 심야약국 운영지원 4,810만 원, 산부인과 소아과 원아워(ONE-hour) 진료체계 구축 4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89페이지 양질의 보건 의료서비스 제공입니다.
환자 진료사업으로 일반운영비, 여비, 의료 및 회복비, 인건비, 자산취득비로 3억 3,868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90페이지입니다.
구강보건사업 추진을 위하여 일반운영비, 의료 및 회복비로 1,660만 원, 성매개 감염병 검진 시약 및 진료비 지원 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91페이지입니다.
에이즈 진단 시약 구입비로 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91페이지 중간부터 492페이지까지의 보건사업과 인력운영비입니다.
시간외근무수당 및 공무직 근로자 보수 등에 8억 424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93페이지부터 495페이지까지의 보건사업과 기본경비입니다.
일반운영비, 여비, 업무추진비로 6억 5,351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건사업과 소관 2025년도 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소 보건사업과 업무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시는 남기호 총무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 여러분께 감사를 드리며 보건사업과 소관 2025년도 세출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471페이지입니다.
보건사업과 총예산액은 71억 1,096만 9천 원으로 전년보다 14억 4,724만 5천 원을 증액 편성하였습니다.
사업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보건행정서비스 제공으로 보건지소, 진료소 관리를 위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일반운영비, 여비, 자산취득비로 1억 1,1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2페이지입니다.
보건청사 운영비로 인건비, 일반운영비, 업무추진비, 보건기관 개선을 위한 시설비 등에 5억 153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3페이지입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에 따른 인건비, 일반운영비, 여비, 일반보전금으로 5,801만 9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4페이지입니다.
시립문경요양병원 문경기능성온천 활용방안 연구용역비로 1,900만 원과 병실 내 세면대 설치 등 시설비 및 자산취득비로 2억 8,159만 5천 원을 편성하고 지특사업으로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방역소독기 및 진료소 약품 포장기 구입 등에 2,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5페이지입니다.
국비지원사업으로 공립요양병원 치매환자 지원 프로그램 운영비 1억 600만 원,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이전신축한 산북보건지소 이사용역비, 휀스 설치 및 집기비품 구입비로 1억 2,05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75페이지 하단부터 476페이지 중간까지의 감염병 확산 방지입니다.
감염병 예방사업을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의료 및 회복비, 자산취득비로 7,189만 6천 원을 편성하고 의료 관련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180만 원, 신종감염병 예방지원사업 6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77페이지입니다.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일반보전금 의료 및 회복비로 4,675만 1천 원을 편성하고 결핵 조기 발견을 위한 일반운영비, 의료 및 회복비로 243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8페이지입니다.
결핵환자 관리를 위한 입원 명령 대상 환자 지원비 125만 2천 원, 결핵 역학 조사비 521만 4천 원, 결핵환자 가족 접촉자 조사비 등으로 106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79페이지입니다.
결핵 고위험군 등 취약계층 결핵 및 잠복 결핵 감염관리비로 1,832만 2천 원, 의료기관 결핵환자 관리 지원 3,881만 2천 원, 보건소 결핵관리사업 인력운영비 7,769만 2천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480페이지입니다.
보건소 결핵환자 검사 및 진단 지원비 547만 5천 원, 예방접종사업 인건비, 홍보물 제작비, 여비, 대상포진 등의 약품구입비로 1억 311만 7천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481페이지입니다.
어린이 예방접종비 3억 8,154만 6천 원, 60개월부터 12세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비 6,383만 4천 원, 13세 어린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비 841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2페이지입니다.
임산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비 334만 2천 원, HPV 1차 접종 완료자 및 미접종자 예방접종 1,145만 4천 원, 성인 예방접종비 6억 7,551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3페이지입니다.
B형 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접종 사업 127만 4천 원, 선택예방접종 지원사업 2,131만 7천 원,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비 2억 2,528만 2천 원, 한센인 피해사건 피해자 생활지원 3,42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4페이지입니다.
한센 간이양로주택 운영지원 4,960만 원, 재가한센인 생계비 지원사업 1,673만 원, 에이즈 감염인 진료비 1,300만 원, 원자폭탄 피해자 요양생활 수당 지원 2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5페이지입니다.
코로나19 백신구입비 8억 4,216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의약무 지원입니다.
의약무 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여비, 일반보전금으로 3,211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6페이지입니다.
암환자 의료비 지원 1억 4,000만 원,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7,926만 6천 원, 재가진폐환자 의료비 지원 2억 6,880만 원, 폐의약품 회수 홍보사업 3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87페이지입니다.
신속대응반 운영 지원사업 199만 원,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운영지원 3억 7,000만 원,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지원 1,120만 원, 소비자 의료기기 감시원 활동비 12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88페이지 암환자 가발 구입비 지원 500만 원, 응급환자 이송비 지원 500만 원, 공공 야간 심야약국 운영지원 4,810만 원, 산부인과 소아과 원아워(ONE-hour) 진료체계 구축 4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489페이지 양질의 보건 의료서비스 제공입니다.
환자 진료사업으로 일반운영비, 여비, 의료 및 회복비, 인건비, 자산취득비로 3억 3,868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90페이지입니다.
구강보건사업 추진을 위하여 일반운영비, 의료 및 회복비로 1,660만 원, 성매개 감염병 검진 시약 및 진료비 지원 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491페이지입니다.
에이즈 진단 시약 구입비로 1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91페이지 중간부터 492페이지까지의 보건사업과 인력운영비입니다.
시간외근무수당 및 공무직 근로자 보수 등에 8억 424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493페이지부터 495페이지까지의 보건사업과 기본경비입니다.
일반운영비, 여비, 업무추진비로 6억 5,351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건사업과 소관 2025년도 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보건사업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러면 질의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은 자리에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사업과 소관 예산안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김영숙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질의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은 자리에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사업과 소관 예산안에 대해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김영숙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근데 기존 1명에서 1명을 더 늘렸습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당초에 올해 당초에는 1명 예산으로 내려왔고 추경에 1명 더 내려와가지고 저희들이 올해 예산하고 내년도 예산하고 똑같습니다.
올 추경에 1명 더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예산은 2명으로 같습니다.
올 추경에 1명 더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예산은 2명으로 같습니다.
○김영숙 위원 아, 예산이 두 명으로 왔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안 그래도 세부설명서에는 1명으로 돼 있더라구요, 보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추경에 늦게 또 한 명 더 내려와가지고...
○김영숙 위원 한 명이 더 내려와서 세부사업상 그대로 있단 말이죠?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세부설명서에 보니깐 한 명으로 돼 있어요, 근데 여기는 두 명이라서, 뭐 한 명이 더 필요합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뭐 결핵환자도 차츰 조금씩 늘어나고 있고 이래서 결핵 예방 활동이라든지 환자 관리에 좀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김영숙 위원 결핵 환자가 좀 는다는 말은 들었습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이 금액이 뭐 1년 사용분입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그렇습니다.
○김영숙 위원 아... 전년도 예산액이 왜 0이더라고요 보니깐 올 예산액...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전년, 올해의 예산도...
○김영숙 위원 그렇지요, 올해 0으로 돼 있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코로나 예방접종 백신은 정부에서 그거를 사가지고 저희들한테 배정을 해줘서 아마 예산이 안 내려온 거 같습니다.
○김영숙 위원 예산이 여기 편성이 안 돼 있더라구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정부에서 예산을 편성을 해서, 구입을 해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보통 기한이 한 1년에서 1년 반 정도 되는데 저희들이 그쪽에서 구입하고 난 뒤에는 만약에 유효기간이 한 6개월이나 뭐 3개월 이상 도래되면 이제 유효기간 긴 걸로 다시 교체를 합니다.
○김영숙 위원 아, 다시 교체를 그대로 할 수 있다고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11,483명 분인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이 정도 하면은 뭐 되는 겁니까, 접종이?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주로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하기 때문에 올해도 인플루엔자하고 같이 동시 접종이 가능해가지고 어르신들이 한 만 천명 정도 접종을 했습니다.
○김영숙 위원 11,000명 정도?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올해 하실 분이 몇 명 정도 돼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올해도 한 11,000명 정도 접종을 했습니다.
○김영숙 위원 11,000명 정도 됩니까, 그 정도면은 해결이 되겠네요 그죠?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1개소가 있는데 뭐 약국이 어느 약국입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저희들 같은 경우에는 없어가지고 지금 약국에다가 신청을 하라고 지금 한 상태이고 지금 그동안에는 뭐 백화점약국이나 그랜드약국이나 했었는데 그다음에 어디 메디팜 보명당약국하고 했었는데...
○김영숙 위원 자원하는 분들이 많지 않은가 봐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지금은 아직까지는 뭐 어떻게 하는 사람이 없어서 아직 들어온 거는 없습니다.
○김영숙 위원 뭐 하면은 이게 몇 시까지 합니까 보통?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주로 밤 8시부터 익일 1시까지 이내에 3시간 이상 하면 저희들이 약사 인건비로 시간당 4만 원씩...
○김영숙 위원 그러니까 3시간이면 8시부터 11시까지 말하는 겁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보명당약국은 11시까지 보통 있더라구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그런데 지금 거기가 뭐 승계 지위한다고 해가지고 지금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김영숙 위원 뭐 바뀌었더라고 약사님이?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김영숙 위원 어느 병원입니까, 이게 4군데 있네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그 4군데가 문경시보건소에 산부인과는 지금 평화산부인과하고 김성연산부인과 이야기한 거 소아과는 연우소아과하고 있어서 지금 이 부분에도 사실 야간에 뭐 진료를 하면 3시간 이상씩 2시간, 4시간 뭐 이렇게 하면 의사수당으로 1시간 당 17만 9천 원 지원을 해주는 건데 지금 아직까지는 신청이 들어온 데가 없습니다.
○김영숙 위원 뭐 힘든지 그 자원을 많이 안 하는가 봐요, 좀 권해서 이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약국도 마찬가지예요.
갑자기 밤에 탈이 나거나 하면은 갈 병원, 약국이 있어야 되는데 그게 없는 것도 또 굉장히 그 불편함을 많이 느꼈는데 그나마 그동안에 뭐 또 보명당약국이 있어가지고 갔었는데 요즘에 문 닫기도 하는 거 같더라구요.
갑자기 밤에 탈이 나거나 하면은 갈 병원, 약국이 있어야 되는데 그게 없는 것도 또 굉장히 그 불편함을 많이 느꼈는데 그나마 그동안에 뭐 또 보명당약국이 있어가지고 갔었는데 요즘에 문 닫기도 하는 거 같더라구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주로 1대1로 찾아뵙고 말씀드려서 신청할 수 있도록 저희들이 노력을 하겠습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알겠습니다.
○김영숙 위원 예, 예를 들어서 그 사람들이 약속을 어길 거나 뭐 이럴 때는 페널티 같은 것도 있습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저희들이 인제 중간중간에 점검을 하도록 되어 있어서 거기 같은 게 만약에 잘 안 하게 되면 인제 페널티가 들어가는 거지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알겠습니다.
○김영숙 위원 예, 이상입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런데 시간당 예를 들어서 4만 원 같으면, 보통 지금 상주는 지금 하고 있다 얘기를 들었는데 지금 심야약국 하겠다는 약국이 있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현재 신청이 안 들어왔습니다.
○진후진 위원 안 들어왔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니 혹시 뭐 이래 공문을 냈는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 보명당이 하던 자리에서 지금 새로 받은 사람이 또 바뀌었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 왜 앞전 하시는 분한테 인수받아 가지고 또 주인이 바뀌었는가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은...
○진후진 위원 아니잖아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니 나한테 자기가 심야약국을 하고 싶다고 뭐 나한테 한번 얘기를 하길래 한번 보건소에 얘기하라 했는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저희들이 만나 뵙고 이제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랬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 한 1시까지?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러면 인근의 비용은 똑같이 주나요, 상주도 4만 원 주나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이거 도에서 하는 사업이라서 아마 똑같이...
○진후진 위원 아, 도에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똑같이 지원했을 거 같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그건 됐고요.
시립문경요양병원 운영해가지고 용역비가 올라왔어요, 이거를 저번에도 우리가 용역을 했어요.
이거를 왜 뭐 하려고 용역을 하죠, 시립요양병원에 그 지하실 아닙니까, 보일러실 목욕탕 하던 거...
시립문경요양병원 운영해가지고 용역비가 올라왔어요, 이거를 저번에도 우리가 용역을 했어요.
이거를 왜 뭐 하려고 용역을 하죠, 시립요양병원에 그 지하실 아닙니까, 보일러실 목욕탕 하던 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시립문경 기능성온천 하던 자리를 이제 그대로 비워둘 수가 없어서...
○위원장 남기호 박애주 소장님!
○진후진 위원 그 우리가 용역을 기능성온천 그때 용역했는 거 어떤 거였어요, 소장님?
○보건소장 박애주 위원님! 그때 용역은 기능성온천 용역 한 게 아니고 2년 전에 한 거는 진료비 보전에 대한 용역을 했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니 기능성온천 한번 했는데 그때, 온천을 한다고 진료비 용역 말고 기능성 온천에 관해서 그때 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 저희들한테 보고한 걸로는...
○보건소장 박애주 최근 10년 이내에는 한 적이 없습니다.
○진후진 위원 없어요?
○보건소장 박애주 예, 예... 저희 보건소에서는 한 적이 없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면 이걸 용역을 아니 또 이게 보건소 것도 아니고 이거를 기능성온천 있는 거를 이 보건소에서 용역을 해서 어떤 용역을 하려고 그래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은 기능성 온천이 거기 용도가 폐지 돼가지고 지금 온천으로써는 살 리가 없고 전체가 시립문경요양병원 지하라서 저희들이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진후진 위원 아니 그러면 지금 현재 온천에 예전에 돼 있는 시설 보일러 배관 돼 있는 거 그대로 있을 건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맞습니다.
○진후진 위원 지금 아직 손도 안 댔을 건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거 치우려고 하면 몇억 들어가요, 예를 들어서 그거 정리하려고 하면...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그렇겠지요.
○진후진 위원 그런데 거기서 뭐 어디 뭔가 쓰려고 용역을 하려고 합니까 안 그러면 이거를 다른 방향으로 하려고 하는 거예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용역을 해가지고 다른 방향으로 할지 안 그러면 그거를 병원하고 같이 더불어서 병원에서 쓸지, 이거를 다방면으로 저희들이 한번 하고자 활용 방안을...
○진후진 위원 아니 그러면 이거 용역할 필요가 없어요.
이거 병원에 주려고 그러잖아, 그러면 병원에 뭘 할 건지 물어보고 우리하고 합의해서 승인하면 되지, 구태여 용역을 왜 줘요 이거를, 용역을 왜 해요.
또 철거하는데 철거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그 사람이 그걸 예를 들어서 다 쓰는지, 예를 들면 만약에 필요한 얼마큼 필요한 건지 모르지마는 또 잘라서 줄 수도 없다고 예를 들어서 우리가 활용도를 아니 눈에 뻔한 건데 이거를 따로 용역으로 형식상 만들어 가지고 용역을 빌미 삼아서 이렇게 했습니다라고 하면 돈만 주고 돈 1,900만 원 뭐 하는 1,900만 원 돈만 내버리는거지요.
아니 그분이 뭘 하겠다고 하면은 뭘 하고 싶나, 난 이런 걸 하고 싶다라고 얘기하거든 그 사업 자체가 맞으면, 그 앞으로 철거 비용도 만만치 않아요, 그 지하실에 다 철거하려고 하면... 그러면 거기에 뭔가를 하는데 정말로 그게 타당성이 되는지, 예를 들어서 그만한 환자를 데리고 올 수 있는지, 물리치료실을 한다고 하면은 거기에 합당한 걸 해가지고 아니 우리가 판단해도 되는 건데 뭐할라 용역해 이거를, 제가 봤을 때는 따로 이거 용역을 해가지고, 용역은 우리 소장님이나 과장님이나 지금 우리 공무원들이 다 면피성도 많아요.
전문성 있는 용역도 많았지만 지금까지 제가 7년 동안 봤을 때 이거는 어쩔 수 없이 면피로 했습니다.
이걸 뭐 시장이 이걸 하기 위해서, 그런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제대로 예를 들어서 그 사람이 어떤 방향을 뭐 어떻게 할 건가 그 부분을 그 평수가 몇 평인가 과장님 아세요, 지하실 잘 모르지요?
이거 병원에 주려고 그러잖아, 그러면 병원에 뭘 할 건지 물어보고 우리하고 합의해서 승인하면 되지, 구태여 용역을 왜 줘요 이거를, 용역을 왜 해요.
또 철거하는데 철거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그 사람이 그걸 예를 들어서 다 쓰는지, 예를 들면 만약에 필요한 얼마큼 필요한 건지 모르지마는 또 잘라서 줄 수도 없다고 예를 들어서 우리가 활용도를 아니 눈에 뻔한 건데 이거를 따로 용역으로 형식상 만들어 가지고 용역을 빌미 삼아서 이렇게 했습니다라고 하면 돈만 주고 돈 1,900만 원 뭐 하는 1,900만 원 돈만 내버리는거지요.
아니 그분이 뭘 하겠다고 하면은 뭘 하고 싶나, 난 이런 걸 하고 싶다라고 얘기하거든 그 사업 자체가 맞으면, 그 앞으로 철거 비용도 만만치 않아요, 그 지하실에 다 철거하려고 하면... 그러면 거기에 뭔가를 하는데 정말로 그게 타당성이 되는지, 예를 들어서 그만한 환자를 데리고 올 수 있는지, 물리치료실을 한다고 하면은 거기에 합당한 걸 해가지고 아니 우리가 판단해도 되는 건데 뭐할라 용역해 이거를, 제가 봤을 때는 따로 이거 용역을 해가지고, 용역은 우리 소장님이나 과장님이나 지금 우리 공무원들이 다 면피성도 많아요.
전문성 있는 용역도 많았지만 지금까지 제가 7년 동안 봤을 때 이거는 어쩔 수 없이 면피로 했습니다.
이걸 뭐 시장이 이걸 하기 위해서, 그런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제대로 예를 들어서 그 사람이 어떤 방향을 뭐 어떻게 할 건가 그 부분을 그 평수가 몇 평인가 과장님 아세요, 지하실 잘 모르지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 구조를 어쨌든 이 구조를 철거하는 비용이 얼마나 들어가는가, 이거 예를 들어서 우리 소장님들은 잘 몰라, 도시과, 건설과나 회계과에 의뢰해서 재산관리 해가지고 이거 철거비 비용 들어가는 게 얼마 정도 들어가는가 예산부터 파악하고 이거를 원상 그 철거를 다하고 난 뒤에 다른 용도로 들어가기 위해서 거기에도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우선 거기에 대한 철거부터 해야 돼요, 철거요.
용역을 줘가지고 그 용역에 입맛대로 아, 이거 이게 뭐 물리치료실 하고 싶은데 물리치료실 만드는데 그거 예를 들어서 업자한테 돈 1,900만 원 돈만 날리는 거예요.
용역을 줘가지고 그 용역에 입맛대로 아, 이거 이게 뭐 물리치료실 하고 싶은데 물리치료실 만드는데 그거 예를 들어서 업자한테 돈 1,900만 원 돈만 날리는 거예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저 위원님! 저희들이 이게 아까 전에 위원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여러 방면으로 이거를 활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 타당성 조사를 하기 위해서...
○진후진 위원 그거는 누가 해요, 이걸 누가 해, 용역 업체 어디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용역 업체에서 예.
○진후진 위원 업체에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거 용역 업체는 아니지 우리가 요구하는 대로 해달라면 해주지요.
그거는 타당성이 아니고 그 사람이 전문가가 아니에요, 우리가 전문가지... 과장님이나 우리가 필요한데 이 평수 뭘 하면 좋겠는가 우리가 판단해서 하면 되는 거지, 그 사람이 아, 여기는 평수가 지하에 한 150평 이런 거 하면 좋습니까, 이거 할 필요 없어요.
그 일단 철거비 비용부터 견적이 얼마 나오는가, 비용 예산, 수반되는 게 만만치 않기 때문에 그 사람들이 와서 우리가 맹 과장님이 요구하는 대로 용역이 나오는 거지 용역이, 그 사람 머리에서 뭘 나옵니까, 서울사람이 될는지 대구사람이 될는지 모르지만 이 지하실에 있는 창고 같은 이 창고를 한 150평 되는데 뭘 하면 좋겠습니까? 그 사람들 말에 의존할 수 있습니까, 그건 아니거든요.
우리가 판단해서 지하에 100평인데 이 100평을 내가 해서 활용도를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서로 머리 맞대고 그러면 비용 예산이 얼마나 좀 수반되는가, 이 철거 비용이 얼마나 들어갈까, 이거 저희들하고 상의하면 되는 거지 구태여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는 방안이 없잖아요, 지금 이게...
그거는 타당성이 아니고 그 사람이 전문가가 아니에요, 우리가 전문가지... 과장님이나 우리가 필요한데 이 평수 뭘 하면 좋겠는가 우리가 판단해서 하면 되는 거지, 그 사람이 아, 여기는 평수가 지하에 한 150평 이런 거 하면 좋습니까, 이거 할 필요 없어요.
그 일단 철거비 비용부터 견적이 얼마 나오는가, 비용 예산, 수반되는 게 만만치 않기 때문에 그 사람들이 와서 우리가 맹 과장님이 요구하는 대로 용역이 나오는 거지 용역이, 그 사람 머리에서 뭘 나옵니까, 서울사람이 될는지 대구사람이 될는지 모르지만 이 지하실에 있는 창고 같은 이 창고를 한 150평 되는데 뭘 하면 좋겠습니까? 그 사람들 말에 의존할 수 있습니까, 그건 아니거든요.
우리가 판단해서 지하에 100평인데 이 100평을 내가 해서 활용도를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서로 머리 맞대고 그러면 비용 예산이 얼마나 좀 수반되는가, 이 철거 비용이 얼마나 들어갈까, 이거 저희들하고 상의하면 되는 거지 구태여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는 방안이 없잖아요, 지금 이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용역비로 세워지면 다른 용도로는 변경을 해서 써야 되기...
○진후진 위원 아니 그러니깐 용역비가 문제가 아니고 그 지하실을 내 말은 목욕탕을 다른 용도로 쓸 방법이 지금 없잖아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그거는 주민들이 쓸 수 있는 곳으로 활용을 해도 저는 된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진후진 위원 그래 이거는 그게 보건소에서, 이 건물 재산 보건소로 넘어갔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보건소로 전부 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이 건물 자체가 재산관리계에서 회계과에서 그 전문성 있는 애들이 계속해오던 걸 요양병원 때문에 보건소로 그때 사가지고 위탁을 했는데 목욕탕 할 때, 이 부분을 그러면 보건소에 관한 부분 시립요양병원하고 관련된 거 할 거 아닙니까, 다른건 뭐 있어요 거기에, 다시 목욕탕 하진 않잖아...
○위원장 남기호 예, 박애주 소장님... 다시 한 번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소장 박애주 제가 보충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위원님.
제가 정확한 날짜는 기억이 안 나는데 의원협의회 때 시립요양병원에 기능성온천장 관련해서 얘기가 한번 나왔었습니다.
그래서 그때 용역을 줘서 이거를 구체적으로 뭘 할 건지를 계획을 한번 짜봐라 이런 얘기가 의원협의회 때 한번 나왔었고요.
그리고 그 4층에서 제가 보고를 시정에 관한 보고를 할 때였는지 그때 또 김경환 의원께서 이거를 문경시민들이, 문경읍민들이 온천 여기가 온천지구인데 이게 온천장을 한 개 더 만들어야된다, 이런 요구들이 많다, 그래서 이거를 종합적으로 계획을 짜봐라 다시, 그런 또 말씀도 있었거든요.
그래서 인제 보건소로서는 저희가 조금 난감한 게 이거를 전반적으로 뭐 온천까지 포함을 해서 이거를 개발계획을 세워야 되는 건지 이거를 병원에 한계를 두고 병원만 병원 입장에서만 저희가 뭐 재활치료라든지 이런 입장에서만 이거를 검토를 해야 되는 건지 이런 부분이 사실 저희가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의원협의회 때하고 시정에 관한 보고 이거 할 때 의견들을 종합해서 저희가 그러면 용역을 줘서 온천도 포함을 하고 병원에 필요한 기능성 재활치료라든지 이런 것들을 다 두루 포함하는 정말 종합적인 운영계획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한번 받아보는 차원에서 이 용역비를 세운 겁니다.
제가 정확한 날짜는 기억이 안 나는데 의원협의회 때 시립요양병원에 기능성온천장 관련해서 얘기가 한번 나왔었습니다.
그래서 그때 용역을 줘서 이거를 구체적으로 뭘 할 건지를 계획을 한번 짜봐라 이런 얘기가 의원협의회 때 한번 나왔었고요.
그리고 그 4층에서 제가 보고를 시정에 관한 보고를 할 때였는지 그때 또 김경환 의원께서 이거를 문경시민들이, 문경읍민들이 온천 여기가 온천지구인데 이게 온천장을 한 개 더 만들어야된다, 이런 요구들이 많다, 그래서 이거를 종합적으로 계획을 짜봐라 다시, 그런 또 말씀도 있었거든요.
그래서 인제 보건소로서는 저희가 조금 난감한 게 이거를 전반적으로 뭐 온천까지 포함을 해서 이거를 개발계획을 세워야 되는 건지 이거를 병원에 한계를 두고 병원만 병원 입장에서만 저희가 뭐 재활치료라든지 이런 입장에서만 이거를 검토를 해야 되는 건지 이런 부분이 사실 저희가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의원협의회 때하고 시정에 관한 보고 이거 할 때 의견들을 종합해서 저희가 그러면 용역을 줘서 온천도 포함을 하고 병원에 필요한 기능성 재활치료라든지 이런 것들을 다 두루 포함하는 정말 종합적인 운영계획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한번 받아보는 차원에서 이 용역비를 세운 겁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박애주 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진후진 위원 소장님!
○진후진 위원 그때 그런 부분이 의원협의회 때 어떤 이야기인지는 모르지마는 그 용도를 처음부터 이게 기능성 온천 이 건물을 보건소에서 관리할 건물이 아니에요.
지금 그 시립요양병원을 그 밑에 우리가 매입하면서 그때의 작당을 하다 보니까 이걸 매입하는 과정이 무엇 때문에 했습니까, 고윤환 시장 있을 때, 보건소로 왜 넘어갔어요?
우리가 온천을 팔았어도 안 되는 거를 팔았다가 다시 왜 샀어요?
그걸 다시 사면서 명분이 없으니까 보건소를 이양줘서 시립요양병원 같이 병행해서 쓰라고 해서 산 거 아닙니까... 이 부분은 우리 지역구 황재용 위원 있지마는 주민들하고 상의해서 우리가 다시 온천을 만든다고 하면 또 서로 온천 가지고 있는 분하고 또 논쟁이 생기고 말도 안 되는 소리고 그거를 폐쇄한 원인도 다 알잖아요, 예전부터 그 뭐 전임 시장들 의견을 다 들어보고 그때 매입한 과정을 다 우리 소장님하고 우리 과장님들 다 아는데 왜 그래, 이 자체를 사용 활용부를 병원에서 예를 들어서 다 쓸 수 있는 여건이 되는지 안 그러면 예를 들어서 지역구 여기 황재용 위원님 있지만 주민들이 이거를 어떤 요구사항이 있다든가라고 하면은 거기에 맞춰가지고 우리가 해서 거기에 대한 필요한 사업을 필요한 용역을 하는 거지, 이 온천을 어디 뭐 할까요?
이거 뜯어가지고 뭐 했으면 좋겠습니까, 그 우리가 온천 의뢰 해가지고 그 사람들이 정답 나옵니까? 안 나오지요, 우리가 의뢰한 대로 나오지요.
그 시민들이 원하거나 아니면 병원에서 시립요양병원 하고 있는 서일재단에서 어떻게 할 건가, 그럼 당신이 쓰고 싶으면은 얼마큼 쓸 거냐, 그러면 요구해가지고 예산을 한번 파악해서 철거 비용하고 자기가 환자를 얼마만큼 유치할 건지 그런 내용들이 나와가지고 하는 거지 이거 뭐 온천 용역 제가 알기로는 그때 용역 한번 했는데 한번 다시 한번 찾아보세요.
그때 이 용역한다고 용역비 우리가 해준 적 있어요, 하여튼 그 부분은 사업에 대한 부분은 그 용역이 전문가가 우리가 원하는 거 맹 나오지 그 사람이 와서 아무것도 모르는데 어떻게 용역 해가지고 여기다가 카바레 하면 좋겠습니다, 시민들 위해서 실내 뭐 체조장 만들면 좋겠습니다, 그 사람들 입맛대로 나와요, 안 나오지요, 우리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이거 용역해가지고 이런 용역을 해보라하면 그 사람들이 그래 용역 하는 거지, 한번 그 저 철거 비용이나 한번 알아보세요, 철거 비용이나... 그게 오히려 그다음부터 단계가 철거 비용 알아본 다음에 비워놓고 난 뒤에 다음에 여기에 뭐할까 나와야 되는 거지 그 철거하는데 지금 현재 돈도 만만치 않은데 그 예산도 제가 알기로는 1억 가지고도 아마 못할 거예요, 아마 철거 비용만 해도, 철거부터 먼저 하고 난 뒤에... 거기 쓰지도 못해요.
철거한 다음에 거기에 맞는 용역을 맞춰서 해나가야 되지 그 용역만 해놔가지고 뭐 할라고요.
그 과장님, 대상포진 내년에 75세 600명 잡혔는데 올해는 몇 번 하셨어요?
지금 그 시립요양병원을 그 밑에 우리가 매입하면서 그때의 작당을 하다 보니까 이걸 매입하는 과정이 무엇 때문에 했습니까, 고윤환 시장 있을 때, 보건소로 왜 넘어갔어요?
우리가 온천을 팔았어도 안 되는 거를 팔았다가 다시 왜 샀어요?
그걸 다시 사면서 명분이 없으니까 보건소를 이양줘서 시립요양병원 같이 병행해서 쓰라고 해서 산 거 아닙니까... 이 부분은 우리 지역구 황재용 위원 있지마는 주민들하고 상의해서 우리가 다시 온천을 만든다고 하면 또 서로 온천 가지고 있는 분하고 또 논쟁이 생기고 말도 안 되는 소리고 그거를 폐쇄한 원인도 다 알잖아요, 예전부터 그 뭐 전임 시장들 의견을 다 들어보고 그때 매입한 과정을 다 우리 소장님하고 우리 과장님들 다 아는데 왜 그래, 이 자체를 사용 활용부를 병원에서 예를 들어서 다 쓸 수 있는 여건이 되는지 안 그러면 예를 들어서 지역구 여기 황재용 위원님 있지만 주민들이 이거를 어떤 요구사항이 있다든가라고 하면은 거기에 맞춰가지고 우리가 해서 거기에 대한 필요한 사업을 필요한 용역을 하는 거지, 이 온천을 어디 뭐 할까요?
이거 뜯어가지고 뭐 했으면 좋겠습니까, 그 우리가 온천 의뢰 해가지고 그 사람들이 정답 나옵니까? 안 나오지요, 우리가 의뢰한 대로 나오지요.
그 시민들이 원하거나 아니면 병원에서 시립요양병원 하고 있는 서일재단에서 어떻게 할 건가, 그럼 당신이 쓰고 싶으면은 얼마큼 쓸 거냐, 그러면 요구해가지고 예산을 한번 파악해서 철거 비용하고 자기가 환자를 얼마만큼 유치할 건지 그런 내용들이 나와가지고 하는 거지 이거 뭐 온천 용역 제가 알기로는 그때 용역 한번 했는데 한번 다시 한번 찾아보세요.
그때 이 용역한다고 용역비 우리가 해준 적 있어요, 하여튼 그 부분은 사업에 대한 부분은 그 용역이 전문가가 우리가 원하는 거 맹 나오지 그 사람이 와서 아무것도 모르는데 어떻게 용역 해가지고 여기다가 카바레 하면 좋겠습니다, 시민들 위해서 실내 뭐 체조장 만들면 좋겠습니다, 그 사람들 입맛대로 나와요, 안 나오지요, 우리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이거 용역해가지고 이런 용역을 해보라하면 그 사람들이 그래 용역 하는 거지, 한번 그 저 철거 비용이나 한번 알아보세요, 철거 비용이나... 그게 오히려 그다음부터 단계가 철거 비용 알아본 다음에 비워놓고 난 뒤에 다음에 여기에 뭐할까 나와야 되는 거지 그 철거하는데 지금 현재 돈도 만만치 않은데 그 예산도 제가 알기로는 1억 가지고도 아마 못할 거예요, 아마 철거 비용만 해도, 철거부터 먼저 하고 난 뒤에... 거기 쓰지도 못해요.
철거한 다음에 거기에 맞는 용역을 맞춰서 해나가야 되지 그 용역만 해놔가지고 뭐 할라고요.
그 과장님, 대상포진 내년에 75세 600명 잡혔는데 올해는 몇 번 하셨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75세 이상 대상포진 말씀이신가요?
○진후진 위원 예.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현재...
○진후진 위원 486쪽에...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현재 3,230명.
○진후진 위원 230명?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3,230명 접종을 했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3,230명.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러면 내년에 600명 정도 같으면 75세 어른들 이게 매년 맞는 건 아니지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매년 맞는 건 아니고 이제 내년에 가면 올해의 74세 되신...
○진후진 위원 보통 한 번 맞으면 그 백신이 몇 년 가요, 유효기간이?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평생 안 맞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평생 안 맞습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럼 내년 한 600명 정도 어른, 안 부족할까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올해 저희들이 예산을 많이 편성을 해서 지금 한 3천 개 정도가 남아 있어서 인제 그거하고 순차적으로...
○진후진 위원 그러면 그 백신 유효기간이 상관없어요, 내년 가도?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그 일반 병원에 있습니까 안 그러면은...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보건소에서만 예방접종을 합니다.
○진후진 위원 아, 예방접종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 3천 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 왜 그렇게 많이 좀 남았어요, 어른들이 안 왔나...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어른들이 예 지금 뭐 많이 꺼려 하시는 분들도 있고 또 오시라고 전화를 드려도 온다온다하고 또 안 오시고...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한센인 환자가 한 30명 정도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30명?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이분들 그러면 한 번씩 소록도 방문 갑니까, 견학 갑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1년에 한 번씩 갑니다.
○진후진 위원 갑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이게 또 주택 운영지원이 있는데 매년 해줬는 거 같은데 맹 국도비인데...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이분들 뭐 농암 사시는 분들입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상신원에 예...
○진후진 위원 상신원하고?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응급의료기관 지원해 주는 거 그거 말씀이십니까?
○진후진 위원 예, 예.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그게 올해는 국비가 3억 7,000만 원 내려왔습니다.
○진후진 위원 예, 아니 국비입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국비입니다.
지금 현재는 국비만 내려온 거 저희들이...
지금 현재는 국비만 내려온 거 저희들이...
○진후진 위원 그래 시비는 왜 반영이 안 됐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시비는 아직까지 올해 게 평가가 아직 올해 게 평가가 내년에 내려왔기 때문에 오기 때문에 내년에 시비를 추가로 인제 편성을 합니다.
○진후진 위원 내년에?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진후진 위원 아 그러면 이거 줄 때 그러면 국비 3억 7,000 같으면 이거는 그러면 상반기 먼저 주고 우리 그 전에 시비 다 지원해 줬잖아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아닙니다, 작년 같은 경우에는 하반기 때 저희들이 시비는 편성을 했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그때 해줬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올해도 그렇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그러면 내년에도 그렇게 해준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올해 평가가 내년 중간에 나오기 때문에...
○진후진 위원 아, 평가가 나와야 됩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고상범 위원 예, 과장님 수고 많으십니다.
기능성온천 부분인데 저희가 지난 2년간 기능성온천 때문에 우리 보건사업과하고 굉장히 논쟁도 벌이고 굉장히 안 좋았을 때도 있었는데, 참 이게 만들어져서 문제고, 팔아서 문제고, 다시 매입해서 문제고, 대신 사용할라니까 또 문제가 되네요, 참 골칫덩어리네요.
이게 총무위원회에서 분명히 우리가 그때 당시에 얘기할 때 건드리지 마라, 나중에 매매해야 된다, 공구리 채워놓아라 그냥... 그런데도 불구하고 아까 전에 박애주 소장님의 말씀은 의원협의회 때 모 의원이 얘기했다고 해서 이걸 갖다가 만들었다, 좀 저는 좀 의아스러운 부분입니다.
우리 총무위원회에서 분명히 얘기를 했었어요, 1년 반 2년 동안 싸워가면서 시끄러워가면서 잡음이 있으면서 분명히 이거에 대해서 우리가 확실하게 맥을 짚었는데 의원협의에서 한 명의 의원이 그렇게 얘기했다고 해서 그걸 갖다가 받아들여서 용역을 준다, 총무위원회도 아니고 산업건설위원회에서, 그러면 우리 뭐 총무위원회는 벙어리입니까, 왜 우리 말은 왜 안 듣고 그 한 명의 말만 들어요.
그리고 이 기능성온천에 대해 가지고 이게 어떤 그 보건소의 의지입니까, 시립요양병원의 의지입니까, 지금 용역 두는 게?
기능성온천 부분인데 저희가 지난 2년간 기능성온천 때문에 우리 보건사업과하고 굉장히 논쟁도 벌이고 굉장히 안 좋았을 때도 있었는데, 참 이게 만들어져서 문제고, 팔아서 문제고, 다시 매입해서 문제고, 대신 사용할라니까 또 문제가 되네요, 참 골칫덩어리네요.
이게 총무위원회에서 분명히 우리가 그때 당시에 얘기할 때 건드리지 마라, 나중에 매매해야 된다, 공구리 채워놓아라 그냥... 그런데도 불구하고 아까 전에 박애주 소장님의 말씀은 의원협의회 때 모 의원이 얘기했다고 해서 이걸 갖다가 만들었다, 좀 저는 좀 의아스러운 부분입니다.
우리 총무위원회에서 분명히 얘기를 했었어요, 1년 반 2년 동안 싸워가면서 시끄러워가면서 잡음이 있으면서 분명히 이거에 대해서 우리가 확실하게 맥을 짚었는데 의원협의에서 한 명의 의원이 그렇게 얘기했다고 해서 그걸 갖다가 받아들여서 용역을 준다, 총무위원회도 아니고 산업건설위원회에서, 그러면 우리 뭐 총무위원회는 벙어리입니까, 왜 우리 말은 왜 안 듣고 그 한 명의 말만 들어요.
그리고 이 기능성온천에 대해 가지고 이게 어떤 그 보건소의 의지입니까, 시립요양병원의 의지입니까, 지금 용역 두는 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저희 같은 경우에도 사실은 지금 기능성온천이 비어있어서 사실은 그냥 그대로 둬야 될지 안 그러면 진짜 지금처럼 연구용역을 줘서 타당성 조사를 해서 활용을 해야 될지 저희들도 한번 판단해 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알겠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그리고 얼마 전에 우리가 그 시립요양병원에서 원장님하고 몇 분이 오셔가지고 그 요양보호사 지원인가 그때 우리한테 요구했는 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간병비 지금 말씀이신가요?
○고상범 위원 간병비요, 예 간병비 지원을 하려고 우리한테 왔었잖습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고상범 위원 혹시 이 간병비 지원을 해달라는 요구안 들어오기 전에 보건소하고 시립요양병원 측하고 서로 간에 상의가 있었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상의보다는 저희들 보건소에 와가지고 사실은 이런 부분에서 지금 좀 적자가 많이 되고 있다라는 이야기는 하셨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적자를 보고 있다는 하소연을 하고 갔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하소연도 하고 지금 옛날 같은 경우에는 사실은 저희들이 도비로 내려와가지고 한 1,800만 원에서 2,000만 원 정도 매년 지원을 했었는데 지금 문경시민이 입원할 경우엔 아마 한 10%로 정도 지원을 하는 걸로 되어 있을 겁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조금 적자가 나지 않나...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 조금 적자가 나지 않나...
○고상범 위원 제가 이제 말씀드리는 건 혹시나 시립요양병원에서 이러한 간병비 지원 부분에서 바로 우리 의회에 왔는 건지 아니면 집행부 보건소하고 서로 상의하고 협의하고 우리한테 온 건지 제가 묻고 싶어 말씀드린 거거든요, 그러면 협의를 했단 얘기네요, 보건소하고 시립요양병원하고 간병비 지원에 대해서, 그러고 나서 우리 의회에 온 거네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원에 대해서 협의를, 지원을 해준다라는 협의는 하지 않았습니다.
○고상범 위원 그러면 그쪽에서 하소연을 했다면서요, 그러면 하소연에 대한 답변은 뭐였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저희들은 그냥 협약서에 보면 저희들이 고가장비나 시설비에는 투자를 한다라고 되어 있어서 그 부분만 저희들이 가능하다라고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그러면 간병비 부분은 우리가 협약서의 내용이 없기 때문에 지원할 수 없다, 이렇게 말씀을 했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그 부분에는 인제 운영비에 대한 내용이 협약서에 없기 때문에 그동안에는 지원을 하지 않았다.
도비로 내려온 부분만 저희들이 지원을 했다, 예...
도비로 내려온 부분만 저희들이 지원을 했다, 예...
○고상범 위원 그럼 협약서대로 하면 우리가 지원해 줄 수 없잖아요, 협약서를 바꾸지 않는 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일단은...
○고상범 위원 지금 현재 상황에서...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협약서에는 뚜렷하게 운영비에 대한 내용은 없기 때문에...
○고상범 위원 쉽게 얘기해요, 그걸 못 하는 거잖아요, 지금 협약서 상황으로는... 그래 나는 이런 부분도 맹 시립요양병원이나 어느 우리가 위탁하는 기관에서는 다 적자 본다고 우리가 다 메꿔주면 위탁 뭐 하려고 합니까, 최소한 그 담당부서에서는 이런 여러가지 얘기가 나오더라도 인제 뭐 솔직히 잉크로 안 말랐잖아요, 1년도 안 지났잖아요.
그러면 돈 남으면 우리 줄 겁니까?
그러면 돈 남으면 우리 줄 겁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시설에...
○고상범 위원 최소 1년, 2년 해보고 나서 어려운 부분을 하소연했을 경우 우리가 시에서 재정적으로 조금이라도 지원할 수 있으면 찾아갖고 좀 지원할 수 있는 명분이 만들어지는데 1년도 안 돼가지고 조금 적자 본다고 해서 우리한테 지원해 달라, 우리가 위탁 뭐 하려고 합니까, 우리... 꿀 발라놨습니까?
최소한 이런 얘기가 나오면은 담당부서에서도 세밀하게 검토해 주시고 그분들한테 세심하게 설명해 줘가지고 좀 잘할 수 있게끔, 또 여기까지 우리한테 온다 그러면 솔직한 말로 우리한테는 또 부담이 돼요, 시민이기 때문에... 그전에 웬만하면 충분히 명분이 있게끔 설명시키고 설득시켜가지고, 하여튼 이런 부분은 다시 한번 일어나지 않게끔 부탁드리겠습니다.
최소한 이런 얘기가 나오면은 담당부서에서도 세밀하게 검토해 주시고 그분들한테 세심하게 설명해 줘가지고 좀 잘할 수 있게끔, 또 여기까지 우리한테 온다 그러면 솔직한 말로 우리한테는 또 부담이 돼요, 시민이기 때문에... 그전에 웬만하면 충분히 명분이 있게끔 설명시키고 설득시켜가지고, 하여튼 이런 부분은 다시 한번 일어나지 않게끔 부탁드리겠습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알겠습니다.
○고상범 위원 예, 이상입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또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예 뭐 저희들이 전번에 우리 그 기능성온천은 우리 총무위원회에서 그렇게 말했어요.
좀 우리가 팔 수 있으면 팔고 그렇게 얘기하고 뭐 우리가 뭐 사실적으로 쓰는 거는 수리비가 대단합니다, 그게... 완전히 새로 싹 뜯어 고쳐야 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좀 그렇고 조금 전에 우리 고상범 위원님께서 말씀하신 시립요양병원 같은 경우도 우리가 사실적으로 위탁을 줬으면 그래도 자기들이 어떻게 할 의지도 좀 있어야 되는데 인제 위탁한 지 얼마 되지 않았잖아요.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예 뭐 저희들이 전번에 우리 그 기능성온천은 우리 총무위원회에서 그렇게 말했어요.
좀 우리가 팔 수 있으면 팔고 그렇게 얘기하고 뭐 우리가 뭐 사실적으로 쓰는 거는 수리비가 대단합니다, 그게... 완전히 새로 싹 뜯어 고쳐야 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좀 그렇고 조금 전에 우리 고상범 위원님께서 말씀하신 시립요양병원 같은 경우도 우리가 사실적으로 위탁을 줬으면 그래도 자기들이 어떻게 할 의지도 좀 있어야 되는데 인제 위탁한 지 얼마 되지 않았잖아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1년 됐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그러니깐 벌써 이렇게 우리 시에다가 손을 내민다는 것이 좀... 저는 그때 참석을 사실적으로 못 했습니다만 좀 그런 면이 안타깝습니다.
그리고 우리 대상포진 있잖아요?
그리고 우리 대상포진 있잖아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예.
○위원장 남기호 대상포진 같은 경우도 우리가 좀 연령을 낮출 그런 없습니까?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그 부분...
(발언 신청하는 공무원 있음)
(발언 신청하는 공무원 있음)
○위원장 남기호 예, 잠시만...
○보건소장 박애주 대상포진에 대해서 저희가 인제 그 75세로 해서 접종 인구가 적기 때문에 좀 연령을 낮췄으면 좋겠다라는 말씀을 하시려고 하시잖아요.
근데 저희가 고민되는 부분이 뭐가 있냐 하면 이 예방접종이라는 게 자꾸 신제품이 개발이 돼요.
그래서 올해까지 저희가 접종했는 거는 생백신이에요, 근데 이거는 접종을 하면 면역 생성률이 한 40에서 한 50%가 채 안 돼요.
그래서 이 조금 전에 한 번만 맞으면 된다, 하는데 현재 맞는 백신은 자주 맞아야 돼요.
한 4, 5년, 4년마다 계속 맞아줘야 되요, 왜냐하면 백신 그 면역 형성률이 낮기 때문에 근데 지금 새로 나온 백신이 또 새로 나왔는데 이거는 우리가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는 것처럼 DNA 백신이 새로 나왔어요.
근데 이거는 한 번 접종을 하면 면역 형성률이 95%로 정도 되고 평생에 한 번만 맞으면 되는 약이 또 새로 나왔는데 이 약은 한 50만 원 정도 합니다.
25만 원짜리를 두 번을 맞아야 돼요, 근데 현재 우리가 지금 보건소에서 놔주고 있는 약은 한 8만 원에서 9만 원 정도 합니다.
그러면 과연 저희가 인제 딜레마에 빠진 게 뭐냐 하면은 면역 형성률이 이렇게 낮은 백신을 연령을 낮춰서 다 놔줘야 되나, 아니면 선별을 해서 정말로 면역이 확실하게 생기는 약을 놔줘야 되나 이런 고민이 조금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뿐만 아니라 이전에도 위원님들께서 예방접종을 좀 연령을 낮춰서 더 놔주면 안 되나 이런 말씀을 하셨는데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이 저희가 있어서 아직 정확하게 결정을 못 내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을 좀 참고해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근데 저희가 고민되는 부분이 뭐가 있냐 하면 이 예방접종이라는 게 자꾸 신제품이 개발이 돼요.
그래서 올해까지 저희가 접종했는 거는 생백신이에요, 근데 이거는 접종을 하면 면역 생성률이 한 40에서 한 50%가 채 안 돼요.
그래서 이 조금 전에 한 번만 맞으면 된다, 하는데 현재 맞는 백신은 자주 맞아야 돼요.
한 4, 5년, 4년마다 계속 맞아줘야 되요, 왜냐하면 백신 그 면역 형성률이 낮기 때문에 근데 지금 새로 나온 백신이 또 새로 나왔는데 이거는 우리가 코로나 예방접종을 하는 것처럼 DNA 백신이 새로 나왔어요.
근데 이거는 한 번 접종을 하면 면역 형성률이 95%로 정도 되고 평생에 한 번만 맞으면 되는 약이 또 새로 나왔는데 이 약은 한 50만 원 정도 합니다.
25만 원짜리를 두 번을 맞아야 돼요, 근데 현재 우리가 지금 보건소에서 놔주고 있는 약은 한 8만 원에서 9만 원 정도 합니다.
그러면 과연 저희가 인제 딜레마에 빠진 게 뭐냐 하면은 면역 형성률이 이렇게 낮은 백신을 연령을 낮춰서 다 놔줘야 되나, 아니면 선별을 해서 정말로 면역이 확실하게 생기는 약을 놔줘야 되나 이런 고민이 조금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뿐만 아니라 이전에도 위원님들께서 예방접종을 좀 연령을 낮춰서 더 놔주면 안 되나 이런 말씀을 하셨는데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이 저희가 있어서 아직 정확하게 결정을 못 내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을 좀 참고해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그래요 하여튼 간에 잠시만요.... 그 뭡니까 이 대상포진 있잖아요.
이거 다른 시군하고도 한번 보시고 제가 알기로도 뭐 5년, 5년 뭐 짧은 건 5년 그다음에 10년 요렇게 되는데 다른 시군하고도 비교 한번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거 다른 시군하고도 한번 보시고 제가 알기로도 뭐 5년, 5년 뭐 짧은 건 5년 그다음에 10년 요렇게 되는데 다른 시군하고도 비교 한번 해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알겠습니다.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위원장 남기호 예, 황재용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황재용 위원 늦게 질의해서 죄송합니다.
위원님들이 염려하시는 부분에 대해서 제가 간단하게 그냥 말씀만 드릴게요.
시립문경요양병원에 대한 연구용역을 하시는 거는 좋아요, 어떻게 하든 간에 이거는 두고 볼 수는 없는 문제고 제가 사회복지과에도 말씀을 드렸어요.
근로복지공단의 진폐 환자들을 위한 재활전문 수중재활센터를 할 수 있는 근거가 아마 있을 거예요.
제가 지금 임이자 의원님하고 요거는 지금 추진하고 있는 상황인데 근로복지공단하고 계속 얘기가 오가고 있는데 이 부분도 전혀 우리 시비 들어가는 거 아닙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하는 사업이 있는데, 그래서 지금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는데 이 부분도 같이 사회복지과하고 유대해서 한번 알아보시고 코로나가 지금 우리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는가요?
위원님들이 염려하시는 부분에 대해서 제가 간단하게 그냥 말씀만 드릴게요.
시립문경요양병원에 대한 연구용역을 하시는 거는 좋아요, 어떻게 하든 간에 이거는 두고 볼 수는 없는 문제고 제가 사회복지과에도 말씀을 드렸어요.
근로복지공단의 진폐 환자들을 위한 재활전문 수중재활센터를 할 수 있는 근거가 아마 있을 거예요.
제가 지금 임이자 의원님하고 요거는 지금 추진하고 있는 상황인데 근로복지공단하고 계속 얘기가 오가고 있는데 이 부분도 전혀 우리 시비 들어가는 거 아닙니다.
근로복지공단에서 하는 사업이 있는데, 그래서 지금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는데 이 부분도 같이 사회복지과하고 유대해서 한번 알아보시고 코로나가 지금 우리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는가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코로나는 예, 발생은 하고 있습니다.
○황재용 위원 지금 몇 분이나 발생하고 있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그거는 집계를 하지 않고 있어서 지금 잘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저희들이...
○황재용 위원 그러니깐 지금 뭐 어차피 예산도 백신 구매비도 내려오고 하는데 제가 말씀드리는 거는 서울대 인재원에 대한 음압병동이 있어야 되나 없애야 되나 이 부분도 한번 보건소에서 관심을 가지시고 전기까지 다 끊었어요, 사용 안 하고 몇 년 동안 방치해 뒀어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그 말씀에 대해서 제가 답변을 드려도 되겠습니까?
○황재용 위원 뭐 답변 안 하셔도 돼요.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지금 전기 같은 경우에 끊었다고 하셨는데 저희들이 올해 한번 가보니까 거기에서 전기는 지금 계속 돌아가고 있고 1년에 한 2,000만 원 정도 전기세가 나간다고 저는 알고 있습니다.
○황재용 위원 그게 아까워서 지금 뺐습니다, 빼놨고 쉽게 말해서 거기 관광지인데 음압병동이 있다는 거 자체가 일단 혐오감을 느끼고요, 시 부지입니다.
시 부지에다 건물을 지어놨는데 그 부분도 한번 저도 유심있게 보는데 인재원 자체에서 일단 연장을 해놔서 요청했기 때문에 우리 시에서 건물연장만 해준 거예요, 사용연장... 근데 사용은 실질적으로 안 하고 있고 전기세가 아까워서 코드도 안 들어와요.
쉽게 비상벨도 안 들어와 있습니다, 밤에... 제가 그 운동하고 다니는 길이니까 이 부분도 한번 보건소나 우리 그 관할이 문경읍인데 또 건설과하고 같이 한번 건설과에서의 공문을 받고 유지를 해줬던 거 같아요.
이 부분도 한번 유심히 한번 다시 검토 좀 해주십사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시 부지에다 건물을 지어놨는데 그 부분도 한번 저도 유심있게 보는데 인재원 자체에서 일단 연장을 해놔서 요청했기 때문에 우리 시에서 건물연장만 해준 거예요, 사용연장... 근데 사용은 실질적으로 안 하고 있고 전기세가 아까워서 코드도 안 들어와요.
쉽게 비상벨도 안 들어와 있습니다, 밤에... 제가 그 운동하고 다니는 길이니까 이 부분도 한번 보건소나 우리 그 관할이 문경읍인데 또 건설과하고 같이 한번 건설과에서의 공문을 받고 유지를 해줬던 거 같아요.
이 부분도 한번 유심히 한번 다시 검토 좀 해주십사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보건사업과장 권상명 알겠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보건사업과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토론을 마치겠습니다.
보건사업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사업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위원장 남기호 다음은 건강관리과장님 발언대로 나오셔서 소관 예산안과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건강관리과장 조태수입니다.
평소 건강관리과 업무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시는 남기호 총무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께 감사드리며 건강관리과 소관 2025년 세출예산안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499페이지입니다.
건강관리과 총예산액은 75억 1,255만 7천 원이며 세부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건강증진사업비 2,084만 원을 일반운영비, 여비 등으로 계상하고 건강생활실천 통합서비스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등으로 1,4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00페이지부터 503페이지까지입니다.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 사업 추진입니다.
사업비 2억 7,608만 5천 원을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등에 5,608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홍보물 제작과 강사수당 등의 일반운영비로 5,652만 9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04페이지부터 505페이지까지입니다.
영양플러스사업 보충식품 구입비 등 재료비 9,536만 원과 모바일 걷기사업 인센티브 제공 등을 위한 기타보상금 등 일반보전금 4,747만 6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아토피 보습제와 임산부 영양제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로 1,75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06페이지부터 509페이지까지입니다.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사업비로 1억 7,947만 2천 원으로 금연클리닉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금연보조제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10페이지입니다.
건강마을조성 사업비 2,800만 원은 지역주민들의 건강행복지수 향상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프로그램 운영 실습 재료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11페이지입니다.
저출산 대책사업으로 모자건강사업비 1억 7,429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2페이지입니다.
셋째 아이 이상 출생아 건강보험료 지급 등 일반보전금으로 1억 550만 원을, 임부 진단 초음파 검사와 기형아검사 수수료 등 의료 및 회복비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출산장려금 지원비로 12억 120만 원을 계상하고 임산부 산후조리비 지원을 위해 1억 2,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3페이지입니다.
세 자녀 이상 가족진료비 사업으로 1,300만 원을, 출산가정의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비로 2억 원과 본인부담금 지원비 1억 5,100만 원을 각각 계상하고 난임부부 시술 지원으로 1억 5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14페이지입니다.
난임부부 확대 지원사업으로 1,632만 7천 원을 계상하고 신규사업으로 출산 축하박스 지원사업 3,9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첫만남이용권 지원사업비 4억 5,046만 9천 원, 모자보건사업 보조인력 인건비 2,156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515페이지입니다.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240만 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6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임산부와 2세 미만 영아 가정 대상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애초기건강관리 시범사업으로 3,170만 1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17페이지입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신규사업으로 시작된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200만 원과 임신 사전 건강관리지원 92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8페이지입니다.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관리 400만 원, 난청 조기진단 사업비 100만 원,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으로 1억 9,4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신규사업으로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비 2,7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9페이지입니다.
신규사업으로 영구적 불임 예상 생식세포 동결 보전비 지원 300만 원을, 영유아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146만 3천 원과 영유아 건강검진사업 13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의료수급권자 영유아 건강검진 운영비로 112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0페이지입니다.
만성질환 예방관리 및 방문 보건사업 추진입니다.
방문 보건사업비 7,277만 원은 홍보물 구입과 강사수당 지급 등 일반운영비와 의약품 구입 등을 위한 의료 및 회복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21페이지부터 522페이지까지입니다.
지특 건강관리사업입니다.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로 818만 원, 전문인력 교육비 등의 일반운영비로 946만 원,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재료비 20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23페이지입니다.
도비 방문건강관리사업 350만 원을, 홍보물 구입과 프로그램 운영 강사비로 편성하고 심뇌혈관 질환 예방관리 사업으로 위탁교육비 279만 원, 지역 보건소 우수 보건사업 발굴 및 보급사업 위탁교육비 191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당뇨 합병증 예방사업으로 안전 및 당뇨 검사비 513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4페이지입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에 따른 운영비 5,110만 원과 인력 지원비 5억 7,016만 4천 원을 각각 계상하고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비 1억 2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5페이지입니다.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 사업에 따른 운영비 3,449만 7천 원과 인력 지원비 3,815만 3천 원을 계상하고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에 6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6페이지입니다.
자살예방 환경조성 사업을 위해 280만 원, 정신건강복지 및 중독관리센터 종사자 수당으로 2,352만 원, 청년고민상담소 운영비 354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지역주민 건강정보 조사를 위한 지역 사회건강조사 민간위탁금 등으로 6,80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7페이지입니다.
일반건강검진 사업으로 홍보물 구입과 의료급여 수급권자 일반 건강검진비 등으로 1,761만 9천 원을 계상하고 국가 암관리 사업비 1억 3,020만 원을 일반운영비와 검진비로 편성하였습니다.
528페이지부터 529페이지까지입니다.
재가암환자 관리를 위해 환자보충식 구입비 1,600만 원을, 신규사업으로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9,000만 원을 계상하고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으로 7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치매예방관리사업 추진입니다.
529페이지 하단부터 533페이지까지입니다.
치매안심센터 운영비 3,163만 9천 원과 치매환자 관리를 위한 치료관리비 지원으로 3억 4,41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치매안심센터 운영비 1억 3,370만 원을 일반운영비 5,270만 6천 원, 의료 및 회복비 3,466만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34페이지입니다.
치매쉼터 지원사업비 1,700만 원을 강사수당 및 프로그램 운영 재료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35페이지부터 536페이지까지입니다.
중증치매노인 공공후견 사업비로 7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제공입니다.
노인전문간호센터 운영비 5억 8,766만 8천 원을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일반운영비, 의료 및 회복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37페이지입니다.
노인전문간호센터의 만성적인 적자 해소와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용역비 1,9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간호센터 청사운영비 3,180만 원을 관리 용역비, 시설장비유지비, 자산취득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38페이지부터 504페이지까지입니다.
건강관리과 인력운영비로 시간외수당, 공무직 근로자 인건비 등에 15억 7,707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45페이지입니다.
건강관리과 기본경비를 일반운영비, 여비, 업무추진비로 1억 6,718만 4천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 건강관리과 소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계속해서 2025년 출산장려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기금 책자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33페이지 자금운용계획입니다.
수입계획은 예치금 회수 22억 243만 원, 공공예금 이자수입 6,212만 9천 원으로 총 22억 6,455만 9천 원입니다.
지출계획은 한시적 확대지원 기간 중 출생아에 대한 출산장려금 5억 8,200만 원을 지출하고 집행잔액 16억 8,255만 9천 원은 예치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건강관리과 소관 2025년 출산장려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소 건강관리과 업무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해주시는 남기호 총무위원장님을 비롯한 위원님께 감사드리며 건강관리과 소관 2025년 세출예산안에 대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499페이지입니다.
건강관리과 총예산액은 75억 1,255만 7천 원이며 세부사업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건강증진사업비 2,084만 원을 일반운영비, 여비 등으로 계상하고 건강생활실천 통합서비스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등으로 1,41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00페이지부터 503페이지까지입니다.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 사업 추진입니다.
사업비 2억 7,608만 5천 원을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등에 5,608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홍보물 제작과 강사수당 등의 일반운영비로 5,652만 9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04페이지부터 505페이지까지입니다.
영양플러스사업 보충식품 구입비 등 재료비 9,536만 원과 모바일 걷기사업 인센티브 제공 등을 위한 기타보상금 등 일반보전금 4,747만 6천 원을 계상하였으며, 아토피 보습제와 임산부 영양제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로 1,754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06페이지부터 509페이지까지입니다.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 사업비로 1억 7,947만 2천 원으로 금연클리닉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금연보조제 구입 등 의료 및 회복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10페이지입니다.
건강마을조성 사업비 2,800만 원은 지역주민들의 건강행복지수 향상을 위한 일반운영비와 프로그램 운영 실습 재료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11페이지입니다.
저출산 대책사업으로 모자건강사업비 1억 7,429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2페이지입니다.
셋째 아이 이상 출생아 건강보험료 지급 등 일반보전금으로 1억 550만 원을, 임부 진단 초음파 검사와 기형아검사 수수료 등 의료 및 회복비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출산장려금 지원비로 12억 120만 원을 계상하고 임산부 산후조리비 지원을 위해 1억 2,5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3페이지입니다.
세 자녀 이상 가족진료비 사업으로 1,300만 원을, 출산가정의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비로 2억 원과 본인부담금 지원비 1억 5,100만 원을 각각 계상하고 난임부부 시술 지원으로 1억 5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14페이지입니다.
난임부부 확대 지원사업으로 1,632만 7천 원을 계상하고 신규사업으로 출산 축하박스 지원사업 3,9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첫만남이용권 지원사업비 4억 5,046만 9천 원, 모자보건사업 보조인력 인건비 2,156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515페이지입니다.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240만 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6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임산부와 2세 미만 영아 가정 대상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애초기건강관리 시범사업으로 3,170만 1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17페이지입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 신규사업으로 시작된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200만 원과 임신 사전 건강관리지원 92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으로 2,0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8페이지입니다.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관리 400만 원, 난청 조기진단 사업비 100만 원,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으로 1억 9,4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신규사업으로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비 2,7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19페이지입니다.
신규사업으로 영구적 불임 예상 생식세포 동결 보전비 지원 300만 원을, 영유아발달 정밀검사비 지원 146만 3천 원과 영유아 건강검진사업 13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의료수급권자 영유아 건강검진 운영비로 112만 5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0페이지입니다.
만성질환 예방관리 및 방문 보건사업 추진입니다.
방문 보건사업비 7,277만 원은 홍보물 구입과 강사수당 지급 등 일반운영비와 의약품 구입 등을 위한 의료 및 회복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21페이지부터 522페이지까지입니다.
지특 건강관리사업입니다.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로 818만 원, 전문인력 교육비 등의 일반운영비로 946만 원,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재료비 20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523페이지입니다.
도비 방문건강관리사업 350만 원을, 홍보물 구입과 프로그램 운영 강사비로 편성하고 심뇌혈관 질환 예방관리 사업으로 위탁교육비 279만 원, 지역 보건소 우수 보건사업 발굴 및 보급사업 위탁교육비 191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당뇨 합병증 예방사업으로 안전 및 당뇨 검사비 513만 3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4페이지입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에 따른 운영비 5,110만 원과 인력 지원비 5억 7,016만 4천 원을 각각 계상하고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비 1억 25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5페이지입니다.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증진 사업에 따른 운영비 3,449만 7천 원과 인력 지원비 3,815만 3천 원을 계상하고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에 6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6페이지입니다.
자살예방 환경조성 사업을 위해 280만 원, 정신건강복지 및 중독관리센터 종사자 수당으로 2,352만 원, 청년고민상담소 운영비 354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으며 지역주민 건강정보 조사를 위한 지역 사회건강조사 민간위탁금 등으로 6,802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527페이지입니다.
일반건강검진 사업으로 홍보물 구입과 의료급여 수급권자 일반 건강검진비 등으로 1,761만 9천 원을 계상하고 국가 암관리 사업비 1억 3,020만 원을 일반운영비와 검진비로 편성하였습니다.
528페이지부터 529페이지까지입니다.
재가암환자 관리를 위해 환자보충식 구입비 1,600만 원을, 신규사업으로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9,000만 원을 계상하고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으로 70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치매예방관리사업 추진입니다.
529페이지 하단부터 533페이지까지입니다.
치매안심센터 운영비 3,163만 9천 원과 치매환자 관리를 위한 치료관리비 지원으로 3억 4,41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치매안심센터 운영비 1억 3,370만 원을 일반운영비 5,270만 6천 원, 의료 및 회복비 3,466만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34페이지입니다.
치매쉼터 지원사업비 1,700만 원을 강사수당 및 프로그램 운영 재료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35페이지부터 536페이지까지입니다.
중증치매노인 공공후견 사업비로 7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제공입니다.
노인전문간호센터 운영비 5억 8,766만 8천 원을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일반운영비, 의료 및 회복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37페이지입니다.
노인전문간호센터의 만성적인 적자 해소와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용역비 1,900만 원을 계상하였으며 간호센터 청사운영비 3,180만 원을 관리 용역비, 시설장비유지비, 자산취득비 등으로 편성하였습니다.
538페이지부터 504페이지까지입니다.
건강관리과 인력운영비로 시간외수당, 공무직 근로자 인건비 등에 15억 7,707만 3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계속해서 545페이지입니다.
건강관리과 기본경비를 일반운영비, 여비, 업무추진비로 1억 6,718만 4천을 편성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 건강관리과 소관 일반회계 세출예산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계속해서 2025년 출산장려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해 보고드리겠습니다.
기금 책자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33페이지 자금운용계획입니다.
수입계획은 예치금 회수 22억 243만 원, 공공예금 이자수입 6,212만 9천 원으로 총 22억 6,455만 9천 원입니다.
지출계획은 한시적 확대지원 기간 중 출생아에 대한 출산장려금 5억 8,200만 원을 지출하고 집행잔액 16억 8,255만 9천 원은 예치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건강관리과 소관 2025년 출산장려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건강관리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러면 질의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은 자리에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질의 답변은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과 출산장려기금 순으로 하겠습니다.
먼저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진후진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질의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은 자리에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질의 답변은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과 출산장려기금 순으로 하겠습니다.
먼저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진후진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총 14명 지금...
○진후진 위원 14명?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아, 지금 이제 5억 7,000이 들어가지요, 운영비가... 14명 그러면 여기에 치매안심센터는 치매치료관리 여기는 몇 분 근무하세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아 거기도 14명 정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무실 인력까지 포함하면 총 19명입니다.
우리 사무실 인력까지 포함하면 총 19명입니다.
○진후진 위원 19명, 아니 근데 그럼 이거 예산이 이렇게 작아, 3억 4,000이잖아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치매센터 같은 경우에는 인건비가 회계과의 공무원이기 때문에 회계과에 잡혀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그래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아 여기는 전부 우리 문경대학교 위탁 준 거 아닙니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아, 거기는 정신센터.
○진후진 위원 아니 그러니깐 치매도 준 거 아니냐고...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치매는 아닙니다, 저희들 직영.
○진후진 위원 안 줬어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직영하고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이 치매도 저는 문경대학으로 우리가 그 위탁 전환사업을 줬나 해가지고 여기에 또 돼 있어서 난 정신센터하고 같이 그 문경대학에서 2개를 다 운영하는 줄 알았어요.
아, 그래요. 알겠습니다.
그리고 우리 금방 다른 거는 아니고 금방 우리 또 과장님이 이건 답이 다 있는 거를 노인전문간호센터 운영방안을 즉 만성적인 적자운영에 대한 부분 용역을 그걸 이게 법적으로 해야 되는 겁니까, 용역 하는 거?
아, 그래요. 알겠습니다.
그리고 우리 금방 다른 거는 아니고 금방 우리 또 과장님이 이건 답이 다 있는 거를 노인전문간호센터 운영방안을 즉 만성적인 적자운영에 대한 부분 용역을 그걸 이게 법적으로 해야 되는 겁니까, 용역 하는 거?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거기에 대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진후진 위원 예.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전반기 총무위원회에서 간호센터의 적자라든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니까...
○진후진 위원 아니 답은 다 나와 있는데 뭐...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이 부분은 용역을 세워서 그 향후 운영을 이걸 민간위탁으로 갈 것인지 어떤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서 한번 용역을 세워서 한 번 검토를 받자라고 이렇게 한 번...
○진후진 위원 민간위탁 줄 수가 있나 당장 지금 남아 있는 인력들 지금 현재 우리 공무직 몇 분이죠, 남아 있는 사람이 공무직?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현재 전체 인원은 21명입니다.
○진후진 위원 21명에, 자 지금 현재 계약직이 7명으로 쓰고 있어요, 여기 보면 예산 쓰겠다는 거 보니 계약직이 7명에 8명으로 돼 있는데, 공무직이 몇 명이에요 공무직이, 그 간호센터에 그 간병하는 공무직?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공무직은 방금 조금 전에 말씀드린 대로 인제 21명 정도가 되는데...
○진후진 위원 아니 21명이 많네요, 아직 예.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되는데 그 올해 내년까지 그 이제 퇴직자가 계속 발생이 됩니다.
이전까지도 계속 지금 발생이 되고 있는데, 그 공무직 그 퇴직 이후에 새로운 그 인원을 채용하지 않고 기간제 근로자로 이제 대처를 해가지고...
이전까지도 계속 지금 발생이 되고 있는데, 그 공무직 그 퇴직 이후에 새로운 그 인원을 채용하지 않고 기간제 근로자로 이제 대처를 해가지고...
○진후진 위원 계속 그렇게 해왔어요, 예.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게 해서 적자 폭을 줄이고자 현재 이렇게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니 그래해왔고 계속 이거 예전에 우리 박애주 소장님도 한 6년 전에 얘기했을 때도 그렇게 했어요, 과장님 할 때도 그래 왔는데 적자라는 거는 계속해가지고 이어왔고 지금 환자 몇 분은 계세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환자는 그 뭐 조금 가변은 있는데 21명에서 23명 정도 이렇게 그...
○진후진 위원 지금 우리가 총 몇 분 받을 수 있죠?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현재 23명.
○진후진 위원 아니 받을 수 있는 병실 패드가? 사십몇 명이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그 기준은 현재 한 40명이 조금 더 되는데 그 인력 지금 운영하는 인력을 감안해서 현재 25명까지는 받을 수가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니까 우리가 25명은 현재 인력으로 된 거고, 지금 현재 간호센터 패드는 그때 43명인가 44명까지 거기 수용할 수 있잖아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총 패드가...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지금 현재 21명 하는데 이 21명은 우리 보건소 공무원 포함입니까, 아니잖아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포함하지 않은...
○진후진 위원 포함하지 않은 분이잖아?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럼 우리 직원 그 저 보건소 직원까지 계장님까지 하면 다 몇 명 근무하시죠?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공무원은 6명이 더 나가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6명 그러면 27명, 이 계약직도 7명, 8명 있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계약직은 현재 그 인원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니깐 계약직을 그러면 7명이라 해도 34명 정도 근무하는데...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기간제 근로자가 현재 총 세 분이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세 분 있어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그런데 여기 기간제근로자 예산 지금 현재 반영된 거는 내가 보니까 한 7명 되는데...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그렇지는 않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니예요? 아니 여기 보면 여기에 기간제 근로자 수당 주는 거에 보니까는 명수가 나왔는데 합이 7명으로 나오는 거 같은데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아, 예, 예... 정정 위원님! 정정하겠습니다.
총인원 21명이 맞고 거기에 기간제 근로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총인원 21명이 맞고 거기에 기간제 근로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기간제...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제가 착각했습니다.
○진후진 위원 기간제 몇 명입니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기간제가 현재 그 조리원 두 분하고 위생원 한 분 그리고 요양보호사 같은 경우에는 퇴직자 발생 이후에 그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인원이 한 분 계셨는데 내년에도 지금 이제 그렇게 진행을 할 계획입니다.
○진후진 위원 전에 예전에 용역 최근에 몇 년 전에 한번 받았습니까? 이거 한번 받았는데 운영방안에 대해서 한번 용역 해가지고 언제 받으셨는가 그때 용역 한번 받았는가 좀 남아 있는 거 갖다주시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분명히 받은 거 있었습니다.
예전에 제가 알기로도 계속 누차적으로 이 적자 되는 걸 어떻게 해야 되겠냐 하면서 용역을 한번 한 적이 있어요.
제가 몇 년도인지 기억은 안 나는데 한번 가서 찾아보시고요.
예전에 제가 알기로도 계속 누차적으로 이 적자 되는 걸 어떻게 해야 되겠냐 하면서 용역을 한번 한 적이 있어요.
제가 몇 년도인지 기억은 안 나는데 한번 가서 찾아보시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 살펴보겠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 용역 했는 용역을 한번 갖다주세요.
그 용역을 한번 보고 지금 그 용역대로 만약에 나와도 그렇게 이행할 수가 없어요, 왜? 이분들이 퇴직할 때까지 다른데 수용을 해야 되는데 수용할 수도 없는 입장이고, 또 운영을 하는데 있어 가지고 환자를 더 못 받는데 환자를 받아 가지고, 적자의 만성적자 될 수밖에 없는 건 뻔한 건데 이제 어떻게든 빨리 민간한테 우리가 결정 내려서 주느냐 그러면 남아 있는 공무직은 어디로 돌릴거냐, 이 사람들이 돈 뭐 고임금을 받고 있는데, 다른 공무직으로 가서 일할라 합니까, 안 하려고 하겠지, 그 사람들 노조 있다는데 노조, 아주 대단한 무서운 노조, 민주노총... 난 민주노총 듣기만 들어도 무서워요, 정말로 텔레비전에 나오는 거 보니 기가 막히더라고, 그런 막강한 힘센 사람들인데 우리 과장님이나 소장님들이 그 어떻게 팀장님들이 그 사람들 감당하겠어, 그 무소불위의 힘 있는 사람들이 그래서 내가 우리 그 근무하시는 분들 오히려 그분들한테 우리 팀장님이나 직원들이 휘둘리지 않을까 걱정이라요, 정말로 너무 지나친 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 가지고 그래서 그것보다는 이걸 당장 우리가 결정을 내리면 돼요.
집행부에서 내리고 우리하고 합의해서 ‘자, 이거 민간위탁 주자’ 결정 내려가지고 바로 주면 끝나는 거예요, 그거... 예를 들어서 누가 수탁자 선정해서 지역 관내 지역에서 할 만한 사람 공모 해가지고 외지 사람 줄 것도 없고 그분들 주면은 아마 그분들 운영 뭐 잘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혹시 앞전에 용역 있는 거 한번 자료를 먼저 갖다주세요, 이거 저 내일모레 예결하기 전까지 내일 계수조정하고 모레 예결하는데 하게 되면은 그 전에 한번 갖다주세요.
그때 한번 제가 참조를 보고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용역을 한번 보고 지금 그 용역대로 만약에 나와도 그렇게 이행할 수가 없어요, 왜? 이분들이 퇴직할 때까지 다른데 수용을 해야 되는데 수용할 수도 없는 입장이고, 또 운영을 하는데 있어 가지고 환자를 더 못 받는데 환자를 받아 가지고, 적자의 만성적자 될 수밖에 없는 건 뻔한 건데 이제 어떻게든 빨리 민간한테 우리가 결정 내려서 주느냐 그러면 남아 있는 공무직은 어디로 돌릴거냐, 이 사람들이 돈 뭐 고임금을 받고 있는데, 다른 공무직으로 가서 일할라 합니까, 안 하려고 하겠지, 그 사람들 노조 있다는데 노조, 아주 대단한 무서운 노조, 민주노총... 난 민주노총 듣기만 들어도 무서워요, 정말로 텔레비전에 나오는 거 보니 기가 막히더라고, 그런 막강한 힘센 사람들인데 우리 과장님이나 소장님들이 그 어떻게 팀장님들이 그 사람들 감당하겠어, 그 무소불위의 힘 있는 사람들이 그래서 내가 우리 그 근무하시는 분들 오히려 그분들한테 우리 팀장님이나 직원들이 휘둘리지 않을까 걱정이라요, 정말로 너무 지나친 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 가지고 그래서 그것보다는 이걸 당장 우리가 결정을 내리면 돼요.
집행부에서 내리고 우리하고 합의해서 ‘자, 이거 민간위탁 주자’ 결정 내려가지고 바로 주면 끝나는 거예요, 그거... 예를 들어서 누가 수탁자 선정해서 지역 관내 지역에서 할 만한 사람 공모 해가지고 외지 사람 줄 것도 없고 그분들 주면은 아마 그분들 운영 뭐 잘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혹시 앞전에 용역 있는 거 한번 자료를 먼저 갖다주세요, 이거 저 내일모레 예결하기 전까지 내일 계수조정하고 모레 예결하는데 하게 되면은 그 전에 한번 갖다주세요.
그때 한번 제가 참조를 보고 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진후진 위원 이상입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습니다.
○고상범 위원 도에서도 이게 다자녀 기준이 두 자녀로 바뀌었는데 이 부분은 어떤 변경할 수 있는 사안이 있습니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말씀 같이 답변드리겠습니다.
그 아마 우리 세 자녀 이상이 가족진료비하고 그다음에 건강보험료는 우리 시에서 지금 특화사업을 하고 있는데...
그 아마 우리 세 자녀 이상이 가족진료비하고 그다음에 건강보험료는 우리 시에서 지금 특화사업을 하고 있는데...
○고상범 위원 예.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우리가 올 4월달에 작년 12월달에 그 다자녀 관련 조례가 이제 두 자녀 이상으로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그 연장선으로 저희들이 출산 장려와 관련된 이 부분도 변경코자 그 지난 4월달에 보건복지부에 이거를 인제 기준을 맞추려고 지금 협의 요청을 해 놓은 상태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구요.
마찬가지로 이 세 자녀 이상 이 도비 보조사업도 도에서도 이 부분을 두 자녀 이상으로 바꾸려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그런 중입니다.
그래서 그 연장선으로 저희들이 출산 장려와 관련된 이 부분도 변경코자 그 지난 4월달에 보건복지부에 이거를 인제 기준을 맞추려고 지금 협의 요청을 해 놓은 상태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구요.
마찬가지로 이 세 자녀 이상 이 도비 보조사업도 도에서도 이 부분을 두 자녀 이상으로 바꾸려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그런 중입니다.
○고상범 위원 아 그러면 앞으로 그만 진행 과정 봤을 때는 두 자녀로 내려간다고 보면 되겠네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이거는 뭐 복지부에서 사회보장제 관련해가지고 결론이 나야지만 최종적으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고상범 위원 예, 그러면 긍정적으로 봐야 되겠네요, 희망적이라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저희들은 그렇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고상범 위원 그럼 10만 원, 15만 원 돼 있잖아요, 근데 522페이지 가보면 거기는 공무직 출장여비인데 여는 20만 원씩, 관내 출장여비 관외 출장여비 똑같이 20만 원씩 이렇게 돼 있거든요, 이 기준이 뭐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아 이거는 인제 그 지금 522페이지에 방문건강관리 쪽은 아마 현장 행정을 하는 게 많습니다.
어르신들 그러니까 우리 방문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그런 질환자분들을 직접 방문해가지고 이렇게 진료를 하는 그런 내용이 많다 보니까 관내출장 여비가 조금 차이가 있는 거 같습니다.
어르신들 그러니까 우리 방문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그런 질환자분들을 직접 방문해가지고 이렇게 진료를 하는 그런 내용이 많다 보니까 관내출장 여비가 조금 차이가 있는 거 같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니 거기 보면 관내 출장여비와 관외 출장여비가 똑같잖아요, 20만 원?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고상범 위원 비교 차등해야 되는 거 아닌가 이거는...
(뒷자리에서 마이크 중단 발언 “청취불능”)
아, 그게 되는가요?
(뒷자리에서 마이크 중단 발언 “청취불능”)
지금 현재 상황으로 서류상으로 봤을 때는 한 번에 지급하는 기준이 20만 원씩이라고 보면...
(뒷자리에서 마이크 중단 발언 “청취불능”)
아, 그게 되는가요?
(뒷자리에서 마이크 중단 발언 “청취불능”)
지금 현재 상황으로 서류상으로 봤을 때는 한 번에 지급하는 기준이 20만 원씩이라고 보면...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아 그거는 상시는 아니고요.
○고상범 위원 아 그렇습니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그러면 508페이지 관내 출장여비하고 관외 출장여비하고 차액이 있는 부분은?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이게 전체 횟수를 딱 정해놓고 이렇게 지급하는 건 아니고요.
실질적으로 현장을 나가서 어떤 그 뭐 출장을 해서 출장의 목적에 의한 어떤 여비를 지출할 사유가 생겼을 때 인제 지급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이게 출장 횟수와 그다음에 출장 사유와 이런 거를 봐가지고 공이 똑같이 지출하는 건 아닙니다.
예산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가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현장을 나가서 어떤 그 뭐 출장을 해서 출장의 목적에 의한 어떤 여비를 지출할 사유가 생겼을 때 인제 지급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이게 출장 횟수와 그다음에 출장 사유와 이런 거를 봐가지고 공이 똑같이 지출하는 건 아닙니다.
예산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가 있습니다.
○고상범 위원 그 예산 범위가 몇 기준이라는 게 산출근거가...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1일 지출기준은 있고 그다음에 횟수가 많게 되면 많이 나가니까 그만큼 지출해 줘야 되는데 방문건강관리사업 같은 경우에는 현장이 많기 때문에 이렇게 좀 예산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그래요... 그러면 같은 공무직인데 이제 기준 자체를 10만 원 뭐 15만 원, 20만 원 이렇게 별도로 차등하게 돼 있다 보니까 궁금해갖고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
그리고 528페이지요, 하단부에 보면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라고 있거든요.
그리고 528페이지요, 하단부에 보면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이라고 있거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고상범 위원 이게 뭐 어떤 사업이죠?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이게 올 7월달부터 하반기에 이제 국비사업으로 시작이 됐는데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이제 국민들이 이제 모두 다 대상이 됩니다.
그래서 직접 저희들 보건소를 방문 아니면 의료기관을 방문 이렇게 하기 위한 전 단계에 어떤 상담소에서 이 정신건강과 관련된 부분에 어떤 상담을 받고자 원했을 때에 이게 매개체로서 저희들이 연계를 시켜주는 그런 사업입니다.
그래서 직접 저희들 보건소를 방문 아니면 의료기관을 방문 이렇게 하기 위한 전 단계에 어떤 상담소에서 이 정신건강과 관련된 부분에 어떤 상담을 받고자 원했을 때에 이게 매개체로서 저희들이 연계를 시켜주는 그런 사업입니다.
○고상범 위원 그러면 올해 신규사업인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이게 올 7월달부터 시작됐습니다.
○고상범 위원 7월달 부터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정부정책으로 시작됐습니다.
○고상범 위원 그럼 올해 그 7월달 이후에 이용한 어떤 그 시민들이 있습니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현재 한 여덟 분 정도로 제가 기억을 하는데 예, 예...
○고상범 위원 그러면 이 사람들한테 어떤 지원사업을 하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상담을 했을 때...
○고상범 위원 상담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비용을 저희가...
○고상범 위원 상담비 그것만 하네, 그러면 상담사도 별도로 또 따로 있겠네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우리 문경 같은 경우에는 현재 한 군데가 있는데 아직 저변이 많이 확대되지 않아 가지고 이게 점차적으로 좀 늘려야 될 필요성이 있는 거...
○고상범 위원 아니요, 상담사가 1명입니까 아니면 어떤 기관에서...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상담소가, 상담소가...
○고상범 위원 상담소가 있어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고상범 위원 이 상담소 7월달부터 지금까지 6개월 동안 8명 상담했다는 얘기잖아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습니다.
○고상범 위원 상담소에 몇 명 있습니까?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뭐 그거는 저희들한테 따로 인허가를 맡는 그런 센터는 아니고요.
요거는 사회서비스 관련 제도에 의해서 별도로 이게 뭐 여러 장소가 있을 수가 있는데, 현재는 한 분이 하는 걸로만 알고 있습니다.
요거는 사회서비스 관련 제도에 의해서 별도로 이게 뭐 여러 장소가 있을 수가 있는데, 현재는 한 분이 하는 걸로만 알고 있습니다.
○고상범 위원 한 분이 어디에요?
○위원장 남기호 정팀장님! 답변석에 나오셔서 소속대고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방문보건팀장 정윤희 올 7월에 국회의원 발의에 의해서 급하게 이제 예산이 편성돼서 사업이 올 7월에 내려왔는데 이 자체는 모든 시민이 되는 것은 아니구요.
그 wee 센터라든지 병원을 이용하는 분들이라든지 정신건강복지센터의 회원들 분들 중에 또 가외로 지역에 있는 상담소를 이용할 때 바우처로 상담소 이용하는 쿠폰을 저희들이 8회 정도 지원을 해주고 바우처 사업으로 그 상담 비용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현재는 저희 지역에 심리상담소가 인프라가 아직 많이 구축되지 않아서 올해 1개소를 구축했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상담소를 조금 더 인프라를 구축해서 지역민들이 좀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저희들이 내년도부터는 구체적으로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하려고 합니다.
그 wee 센터라든지 병원을 이용하는 분들이라든지 정신건강복지센터의 회원들 분들 중에 또 가외로 지역에 있는 상담소를 이용할 때 바우처로 상담소 이용하는 쿠폰을 저희들이 8회 정도 지원을 해주고 바우처 사업으로 그 상담 비용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현재는 저희 지역에 심리상담소가 인프라가 아직 많이 구축되지 않아서 올해 1개소를 구축했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상담소를 조금 더 인프라를 구축해서 지역민들이 좀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저희들이 내년도부터는 구체적으로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하려고 합니다.
○고상범 위원 그러니까 한 개의 사업소가 어디냐고요?
○방문보건팀장 정윤희 고봉민 김밥, 문화의 거리에 있는 고봉민 김밥 2층에 보면 하나심리상담센터가 있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심리센터요?
○방문보건팀장 정윤희 예.
○고상범 위원 그러면 거기에 대해서 우리가 인건비를 지원해주는 하는 게 아니고 그냥 1명당 할 때마다 바우처카드 통해 가지고 약간 그걸로...
○방문보건팀장 정윤희 예, 저희들이 소득 조회를 해가지고 유형별로 해서 1회당 최대 8만 원씩 지원해 줄 수 있고 8회까지 저희들이 지원해 줄 수 있는 바우처 사업입니다.
○고상범 위원 아, 1인당 한 번에 상담하는데 8만 원이고 8번까지 할 수 있게끔 해준단 얘기잖아요.
○방문보건팀장 정윤희 예.
○고상범 위원 그런데 지금 현재는 6개월 동안 8명 사용했고...
○방문보건팀장 정윤희 예, 그게 이제...
○고상범 위원 이제 처음 생겼기 때문에 아직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하여튼 이게 뭐 어떻게 보면 또 좋은 사업일 수도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하여튼 자리잡을 수 있게끔 내년에 홍보를 많이 해가지고 많은 시민들의 고통 있는 부분이 조금이나마 도움 될 수 있게끔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여튼 자리잡을 수 있게끔 내년에 홍보를 많이 해가지고 많은 시민들의 고통 있는 부분이 조금이나마 도움 될 수 있게끔 부탁드리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정윤희 팀장님! 자리로 돌아가시길 바랍니다.
○고상범 위원 예, 이상입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또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우리 전국민 마음투자 사업은 작년도 8월 21일날 국무회의 통과했네요, 그죠... 통과하고 이거 홍보를 좀 많이 해주십시오.
우리가 건강관리과는 뭐 정신복지센터나 치매 아니면 센터 이런 모든 것을 다 총괄하고 있잖아요, 그죠... 진짜 우리가 적자를 보고 있는 간호인력 전문 그것도 있고 이러니까 고생이 많습니다.
하여튼 그러니까 두루두루 잘 살펴서 우리 시민들이 무탈하도록 그렇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우리 전국민 마음투자 사업은 작년도 8월 21일날 국무회의 통과했네요, 그죠... 통과하고 이거 홍보를 좀 많이 해주십시오.
우리가 건강관리과는 뭐 정신복지센터나 치매 아니면 센터 이런 모든 것을 다 총괄하고 있잖아요, 그죠... 진짜 우리가 적자를 보고 있는 간호인력 전문 그것도 있고 이러니까 고생이 많습니다.
하여튼 그러니까 두루두루 잘 살펴서 우리 시민들이 무탈하도록 그렇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알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고상범 위원 내년도는 지금 16억 8,000 정도 되는데 5억 9,000 정도 줄어드는 부분이 있는데, 우리가 시에서 전입금이 얼마나 정도 되죠?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현재 전입금은 따로 없구요.
인제 지금 이제 조성되어있는 기금을 가지고 집행을 하는 부분인데 2027년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그 잔여 예산 남는 액은 한 13억 정도로 저희들이 보고 있습니다.
이게 종료가 되게 되면 절차를 끝나야 되겠지만은 폐지 절차를 거친 후에 인제 일반회계로 귀속되는 걸로 그렇게 계획돼 있습니다.
인제 지금 이제 조성되어있는 기금을 가지고 집행을 하는 부분인데 2027년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그 잔여 예산 남는 액은 한 13억 정도로 저희들이 보고 있습니다.
이게 종료가 되게 되면 절차를 끝나야 되겠지만은 폐지 절차를 거친 후에 인제 일반회계로 귀속되는 걸로 그렇게 계획돼 있습니다.
○고상범 위원 언제, 27년도까지 되어있는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습니다.
○고상범 위원 그러면 올해부터 지금 적립이 안 되는 건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아닙니다.
○고상범 위원 전입금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적립은 끝났고 현재는 그 적립되어있는 기금을 가지고 지출을 하는 거지요.
○고상범 위원 그렇지요, 그러니깐 계속 매년 진짜 적립은 안 되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지요.
○고상범 위원 27년도까지 해가지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전 예산이 계속 예치금 회수를 해서 그다음 대에 기금으로 다시 들어가는 겁니다.
○고상범 위원 그러면 그 이후 계획은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현재 출산장려기금으로 되는 거는 이걸로 이제 종료가 되는 부분이고 현재 그 출산장려금은 2024년 이후 출생아 같은 아니 23년 이후 출생아 같은 경우에는 현재 저희들 일반회계로 예산이 잡혀 있어서 출생 순서와 상관없이 500만 원씩 이렇게 지급이 됩니다.
○고상범 위원 아, 일반회계에 잡혀 있고 이걸로는 지출되는 건 아니고요?
○건강관리과장 조태수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이 부분도 사실적으로 그래요.
우리가 22년까지 매년 13억 해가지고 52억 기금을 조성했는데 이 부분은 저는 계속 했으면 좋겠어요, 사실적으로 이 부분은... 지금 우리가 뭐 저출산이다 이런 부분인데 좀 많이 줬으면 좋겠어요, 다른 데는 지금 뭡니까, 인천 같은 데는 1억씩 주니까 뭐 출산율이 많이 증가한다고 그러는데 돈이 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이런 부분은 좀 많이 기금을 다시 연장하더라도 이런 부분 더 많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사실적으로 예, 또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토론을 마치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22년까지 매년 13억 해가지고 52억 기금을 조성했는데 이 부분은 저는 계속 했으면 좋겠어요, 사실적으로 이 부분은... 지금 우리가 뭐 저출산이다 이런 부분인데 좀 많이 줬으면 좋겠어요, 다른 데는 지금 뭡니까, 인천 같은 데는 1억씩 주니까 뭐 출산율이 많이 증가한다고 그러는데 돈이 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이런 부분은 좀 많이 기금을 다시 연장하더라도 이런 부분 더 많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사실적으로 예, 또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건강관리과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토론을 마치겠습니다.
건강관리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위원장 남기호 다음은 문화예술회관장님 발언대로 나오셔서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안녕하십니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입니다.
계속해서 2025년도 문화예술회관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올리겠습니다.
549페이지입니다.
2025년도 문화예술회관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14억 9,039만 5천 원이 증액된 51억 1,608만 원입니다.
세부사업 위주로 설명을 올리겠습니다.
먼저 문화예술회관 관리입니다.
문화예술회관 청소 및 무대전문 보조인력을 위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5,368만 8천 원, 좌석, 카펫 청소 및 공연장 무대 기계장치 유지보수 등 대공연장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1억 8,025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550페이지입니다.
공연업무 추진을 위한 여비 1,804만 7천 원, 기계실 재료구입 등을 위한 재료비 2,750만 원, 대공연장 객석 교체 및 바닥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시설비 7억 3,6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551페이지입니다.
다음은 다양한 공연행사 추진입니다.
대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행사 추진을 위한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 초청 공연 및 기획전시를 위한 행사 운영비 등 일반운영비 8억 1,504만 원입니다.
시책추진을 위한 업무추진비 200만 원, 무대소품 제작을 위한 재료비 400만 원, 관객 입장 봉사단체 문희서포터즈 활동에 대한 행사실비지원금 86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소공연장인 문희아트홀 운영입니다.
소공연장 공연 진행 및 유지관리를 위한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 초청 공연 및 기획전시를 위한 행사운영비 등 일반운영비 3억 8,15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2페이지입니다.
보일러용 청관제 구입 등 재료비 447만 원, 문희아트홀 계단 교체공사 및 무대 기계장치 보수공사를 위한 시설비 2억 2,200만 원, 이동형 음향반사판 구입 및 무선통신장치 구입 등을 위한 자산취득비 6,800만 원을 각각 계상하겠습니다.
553페이지입니다.
중앙공원 관리입니다. 중앙공원 관리를 위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3,550만 5천 원, 일반운영비 1,87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시설물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관련 사업 지원입니다.
문화예술회관 및 중앙도서관, 문희도서관의 정밀점검 및 안전진단을 위한 시설비 6,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앙도서관 운영입니다. 페이지로는 55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중앙도서관 청소 등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1억 4,442만 원, 정기간행물 구독, 강사수당 등 도서관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1억 1,248만 2천 원을 각각 계상했습니다.
555페이지입니다.
도서관 자료수집을 위한 여비 496만 8천 원, 노트북, 저시력 독서확대기 구입, 회원증 발급 프린터 구입 및 영순 작은도서관 냉난방기 구입, 도서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9,94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앙도서관 시설물 관리입니다.
시설물 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1,700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6페이지입니다.
중앙도서관 로비 냉난방기 설치를 위한 시설비를 1,7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도서관 개관 시간 연장 운영 사업입니다.
개관 시간 연장에 따른 야간 근로자 4명에 대한 인건비 1억 2,0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초보 엄마아빠 북돋움 책 선물 사업입니다.
저출생 극복사업의 일환으로 초보 엄마아빠에게 육아 관련 책과 아이 그림책을 선물하는 사업비 1,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모전도서관 관리입니다.
모전도서관 청소 등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4,36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페이지로는 557페이지입니다.
정기간행물 구독, 강사수당 등 도서관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1억 3,42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8페이지입니다.
도서관 자료수집을 위한 여비 496만 8천 원, 컴퓨터 및 모니터 구입, 회원증 발급 프린터 구입, 도서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6,35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모전도서관 시설물 관리입니다.
모전도서관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2,282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도서관 개관연장 운영입니다.
개관 시간 연장에 따른 야간 근로자 4명에 대한 인건비 1억 2,0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9페이지입니다.
다음은 문희도서관 운영입니다.
문희도서관 청소 등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4,942만 6천 원, 정기간행물 구독, 문예교실 강사수당 등 일반운영비 6,136만 원을 각각 계상했습니다.
560페이지입니다.
도서관 자료수집을 위한 여비 496만 8천 원, 문희도서관 작은미술관 환경개선공사 및 지하수조 교체공사, 내진 보강 공사를 위한 시설비 6억 216만 원, 도난방지 안테나 구입 및 도서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5,34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문희도서관 시설물 관리입니다.
문희도서관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2,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도서관 운영지원입니다.
점촌도서관 가은 분관에 도서 구입 지원을 위한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문화예술회관 인력운영비입니다.
문화예술회관 인력 운영을 위한 시간외 및 휴일근무수당과 도서관 공무직 근로자 3명 보수 등 인건비 2억 7,299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62페이지입니다. 문화예술회관 기본경비입니다.
사무용품 구입, 전기요금, 전기 안전관리 대행 등을 위한 일반운영비 4억 3,724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63페이지입니다.
기본업무 수행을 위한 여비 2,052만 원, 업무추진비 596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 문화예술회관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계속해서 2025년도 문화예술회관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올리겠습니다.
549페이지입니다.
2025년도 문화예술회관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14억 9,039만 5천 원이 증액된 51억 1,608만 원입니다.
세부사업 위주로 설명을 올리겠습니다.
먼저 문화예술회관 관리입니다.
문화예술회관 청소 및 무대전문 보조인력을 위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5,368만 8천 원, 좌석, 카펫 청소 및 공연장 무대 기계장치 유지보수 등 대공연장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1억 8,025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550페이지입니다.
공연업무 추진을 위한 여비 1,804만 7천 원, 기계실 재료구입 등을 위한 재료비 2,750만 원, 대공연장 객석 교체 및 바닥 리모델링 공사를 위한 시설비 7억 3,60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551페이지입니다.
다음은 다양한 공연행사 추진입니다.
대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행사 추진을 위한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 초청 공연 및 기획전시를 위한 행사 운영비 등 일반운영비 8억 1,504만 원입니다.
시책추진을 위한 업무추진비 200만 원, 무대소품 제작을 위한 재료비 400만 원, 관객 입장 봉사단체 문희서포터즈 활동에 대한 행사실비지원금 864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소공연장인 문희아트홀 운영입니다.
소공연장 공연 진행 및 유지관리를 위한 사무관리비, 공공운영비, 초청 공연 및 기획전시를 위한 행사운영비 등 일반운영비 3억 8,15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2페이지입니다.
보일러용 청관제 구입 등 재료비 447만 원, 문희아트홀 계단 교체공사 및 무대 기계장치 보수공사를 위한 시설비 2억 2,200만 원, 이동형 음향반사판 구입 및 무선통신장치 구입 등을 위한 자산취득비 6,800만 원을 각각 계상하겠습니다.
553페이지입니다.
중앙공원 관리입니다. 중앙공원 관리를 위한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3,550만 5천 원, 일반운영비 1,87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시설물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관련 사업 지원입니다.
문화예술회관 및 중앙도서관, 문희도서관의 정밀점검 및 안전진단을 위한 시설비 6,2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앙도서관 운영입니다. 페이지로는 554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중앙도서관 청소 등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1억 4,442만 원, 정기간행물 구독, 강사수당 등 도서관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1억 1,248만 2천 원을 각각 계상했습니다.
555페이지입니다.
도서관 자료수집을 위한 여비 496만 8천 원, 노트북, 저시력 독서확대기 구입, 회원증 발급 프린터 구입 및 영순 작은도서관 냉난방기 구입, 도서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9,94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중앙도서관 시설물 관리입니다.
시설물 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1,700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6페이지입니다.
중앙도서관 로비 냉난방기 설치를 위한 시설비를 1,700만 원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도서관 개관 시간 연장 운영 사업입니다.
개관 시간 연장에 따른 야간 근로자 4명에 대한 인건비 1억 2,0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초보 엄마아빠 북돋움 책 선물 사업입니다.
저출생 극복사업의 일환으로 초보 엄마아빠에게 육아 관련 책과 아이 그림책을 선물하는 사업비 1,1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모전도서관 관리입니다.
모전도서관 청소 등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4,369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페이지로는 557페이지입니다.
정기간행물 구독, 강사수당 등 도서관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1억 3,427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8페이지입니다.
도서관 자료수집을 위한 여비 496만 8천 원, 컴퓨터 및 모니터 구입, 회원증 발급 프린터 구입, 도서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6,35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모전도서관 시설물 관리입니다.
모전도서관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2,282만 4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공공도서관 개관연장 운영입니다.
개관 시간 연장에 따른 야간 근로자 4명에 대한 인건비 1억 2,096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59페이지입니다.
다음은 문희도서관 운영입니다.
문희도서관 청소 등 기간제 근로자 인건비 4,942만 6천 원, 정기간행물 구독, 문예교실 강사수당 등 일반운영비 6,136만 원을 각각 계상했습니다.
560페이지입니다.
도서관 자료수집을 위한 여비 496만 8천 원, 문희도서관 작은미술관 환경개선공사 및 지하수조 교체공사, 내진 보강 공사를 위한 시설비 6억 216만 원, 도난방지 안테나 구입 및 도서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5,340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문희도서관 시설물 관리입니다.
문희도서관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일반운영비 2,32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도서관 운영지원입니다.
점촌도서관 가은 분관에 도서 구입 지원을 위한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 3,0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다음은 문화예술회관 인력운영비입니다.
문화예술회관 인력 운영을 위한 시간외 및 휴일근무수당과 도서관 공무직 근로자 3명 보수 등 인건비 2억 7,299만 9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62페이지입니다. 문화예술회관 기본경비입니다.
사무용품 구입, 전기요금, 전기 안전관리 대행 등을 위한 일반운영비 4억 3,724만 1천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563페이지입니다.
기본업무 수행을 위한 여비 2,052만 원, 업무추진비 596만 원을 각각 계상하였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 문화예술회관 예산안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문화예술회관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그러면 질의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은 자리에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회관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진후진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질의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은 자리에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회관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발언 신청하는 위원 있음)
진후진 위원님 질의하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2층도 대공연장 객석하고 바닥이 포함돼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포함되어 있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면 몇 석으로 줄어요, 지금 현재 800석에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지금 현재 816석 1층에는 500석, 2층에는 200석 해가지고 한 700석 정도가 되지요, 한 116석 정도 줄어들 예정입니다.
○진후진 위원 줄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좀 앞뒤 간격을 늘이고 좌우 간격도 좀 편안하게 관람하실 수 있도록 그렇게...
○진후진 위원 그러면 의자 바꾸면은 밑에 바닥도 다 전부 다 하잖아요 그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바닥을 현재는..
○진후진 위원 바닥 한 지 얼마 안 된 걸로 알고 있는데...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아닙니다, 저기 지금 현재 15년이 지금 경과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 정도나 됐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렇습니다.
○진후진 위원 바닥 한 지가?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카페트가 되어서 먼지가 너무 많이 나고 앞뒤 간격이 좁다 보니깐 뒷사람이 앞을 보는데 굉장히 좀 불편함이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면 높낮이도 지금 다 바꾸는 건가요, 안 그러면 층으로 돼 있는 계단식으로 돼 있는 의자가 돼 있는 그대로 그 높이는 가만 놔두고 양옆으로 폭만 바뀌나...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그 높이에서 약간 인제 목재로 교체할 예정이거든요, 바닥을...
○진후진 위원 예.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코르크 재질의 목재로 할 텐데 그 목재를 가지고 약간 높낮이 조장할 겁니다.
○진후진 위원 목재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많은 사람이 많이 다니기 때문에 예를 들어서 목재로 해가지고 지금 현재는 콘크리트에다 카페트 깔아놨는데 이거를 다 뜯으려고 하면 공사 엄청 커요.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그런 목재로 소재로 한다고 하면은 많은 사람이 아이들이 와도 앉아서 삐걱삐걱 소리 나고 막 좀 심하게 의자를 사용할 거란 말이라요.
그런 부분을 감안해서 공사할 때 시공사한테 완벽하게 정말로 움직임 없이 소리가 안 나도록, 앉아 가지고 또 삐걱삐걱 소리 나면 또 뭐 다 싫어하고 뭐 이런 걸 갖다 놨나 얘기한다고...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그런 목재로 소재로 한다고 하면은 많은 사람이 아이들이 와도 앉아서 삐걱삐걱 소리 나고 막 좀 심하게 의자를 사용할 거란 말이라요.
그런 부분을 감안해서 공사할 때 시공사한테 완벽하게 정말로 움직임 없이 소리가 안 나도록, 앉아 가지고 또 삐걱삐걱 소리 나면 또 뭐 다 싫어하고 뭐 이런 걸 갖다 놨나 얘기한다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좀 그런데 좀 신경을 많이 쓰시길 바라고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알겠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다음 페이지 551쪽에 여기 문화단체 초청 공연 뭐 문화행사가 일괄 통으로 7억 3,000을 해놨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기획전시 3,000 하고 이건 뭐 주로 어디에 어떻게 할 거예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대공연장 공연 뭐 문희아트홀 공연 그다음 영화 등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진후진 위원 영화는 따로 있는데?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따로 있고 인제 대공연장의 같은 경우에는 주로 인제 대규모 콘서트라든지 뮤지컬 이런 거를...
○진후진 위원 올해 몇 번 정도 했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올해 대공연장에서는 6회 정도, 지금 현재 12월까지 남아 있는 것까지 합하면 6회고 소공연장에서는 지금 한 15회 정도...
○진후진 위원 아 15회 했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아니 그래도 국비 뭐 문화관광부 지원사업 있던데...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있습니다, 있는데 지금 현재 문화예술회관 연합회의 예산이 작년부터 전액 지금 삭감이 되어 있어서 올해 내년부터 약간 인제 좀 올라가는데...
○진후진 위원 아, 문광부에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술경영협회라고 그 예술인협회에서 그 예산이 넘어갔거든요.
그래 순수예술 쪽만 이 사람들이 하기 때문에 지역민들이 보기에는 좀 약간 거북한 공연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계속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에 지금 저희들이 국비로 하는 거는 한 3건 정도는 지금 현재 확정된 상태입니다.
그래 순수예술 쪽만 이 사람들이 하기 때문에 지역민들이 보기에는 좀 약간 거북한 공연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계속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에 지금 저희들이 국비로 하는 거는 한 3건 정도는 지금 현재 확정된 상태입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니까 늘 공모사업 국비 그것도 권역별로 올해 했잖아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올해 해서 그런 공연을 했는데 뭐 저희들 우리 시비로도 시민들에게 좋은 공연 보여줘서 상당히 매번 우리 문화회관 직원들도 주말도 없이 근무하는데 한 부서인데 새마을체육과나 우리 뭐 문경새재 같은 데는 또 별건으로 직원들한테 예우를 해주는 걸로 알고 있고 또 우리 문화회관도 그에 못지않게 주말 없이 근무하는데 상당히 거기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 하여튼 공모사업도 한번 병행해서 우리 또 좀 잘 챙겨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알겠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리고 문희서포터즈 몇 년 정도 활동했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지금 2008년에 결성이 되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면 8년, 16년?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 정도 됐습니다.
○진후진 위원 이분들 회원은 몇 분이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20명입니다
○진후진 위원 20명?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이분들 지금까지 무료죠, 쉽게 말하면 무료봉사..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래서...
○진후진 위원 한 번도 뭐 수당 주고 한 적 없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수당은 전혀 없었구요.
○진후진 위원 없지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순수봉사를 하고 계십니다.
○진후진 위원 순수봉사인데 지금 다른 문화단체라든가 봤을 때 제복 그 피복해가지고 이분들 20명 같으면은 겨울 방한복이라도 우리 관장님이 한 벌씩 챙기는 게 안 낫나 싶어가지고 내가 말씀드려요, 이분들한테 수당도 안 주는 입장에 맨날 내가 시민들 안전을 위해서 공연할 때마다 하는데 그분들한테 뭐 그 실내에서 입는 옷도 저거 하지만 그러면 겨울에 또 거기 가서 봉사하러 가는데 뭐 제가 알기로는 교대로 하면 최소한 피복비 해봐 딴 건 얼마 돼도 안 하는데 스무 명 같으면은 30만 원짜리든 40만 원짜리든 피복비 20개 해봐야 돈 천만 원도 안 되는데 피복비라도 정말 고생한다고 관장님이 챙겨줘야지 이런 거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다른 거 수당을 안 주더라도 그 정도는 그분들한테 해줘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늘 저거 하는데 영화도 이렇게 하고 하여튼 도서관 지금 세 군데 도서관이 우리 그 시민들 이용하는 몇 분 정도 이용합니까, 지금 뭐 각 도서관별로 아시면 말씀하시고 전체적으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중앙도서관 같은 경우에는 인제 올해 현재까지 매일 한 355명 정도 이용하고 있고..
○진후진 위원 매일?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모전도서관은 이제 올해 542명, 문희도서관은 이제 아무래도 그 문경읍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다 보니까 한 66명 정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올라왔는데 뭘 수리하죠, 5억 5,000...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그 지금 건물이 요즘 재난, 특히 지진 대비 관련으로 인제 안전 검사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면 지금 현재 내진 보강 공사하라고 그 뭐 용역을 했어요, 안 그러면은 공공건물 관리하는 팀에서 와서 이 건물을 내진 보강해야 된다고 뭐 왔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용역을 시행을 올해 시행을 했구요.
그 용역 결과로 인해 가지고 그 예산을 세웠습니다.
그 용역 결과로 인해 가지고 그 예산을 세웠습니다.
○진후진 위원 그러면 이거 5억 5,000 이거는 뭐 부대비 예산에 같이 묶어야지 216만 원 뭐예요, 내진 보강공사 시설부대비 시설비 5억 5,000에다가 216만 원을 뭘로 또 이래 놨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저희들이 공사감독을 저희들이 못하다 보니까...
○진후진 위원 아니요, 예산 216만 원이 감독비 216만 원 가지고 되나 되도 안 하지, 이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늘 부족합니다, 이런 예산은...
○진후진 위원 아니 5억 5,000 해놓고 시설부대비 똑같은 항목으로 216만 원 해놨는데 이건 별도로 해 놓은 게 뭐예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보통 일반 우리가 공사를 하게 되면 있는 부대비 그 부대비...
○진후진 위원 그 부대비라?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진후진 위원 아니 공사 금액에 다 들어가는데 그게 부대비용으로 하면 보통...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보통 따로 빼야 됩니다.
○진후진 위원 따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렇습니다.
○진후진 위원 아, 그래요... 200만 원 가지고 부대비용 되나 5억짜리 하는데...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이제 저희들이 직접 못하고 건축 부서에 부탁을 해서...
○진후진 위원 그래 그래해야 되지 전문성 있게, 하여튼 우리 또 뭐 시민문화회관 관장님 이하 팀장님들 직원들 뭐 피로도가 상당히 높을 건데 불만도 많이 있을 수도 있어요.
하여튼 우리 관장님이 직원들 잘 격려 좀 해주시고, 또 의원도 좀 저희들도 응원해야 합니다, 하니까 정말 우리 또 한 해 동안 우리 시민들에게 정말 영화나 뭐 연극이며 우리 또 우리 남기호 위원장이 제일 많이 한 번도 안 빠지고 갔잖아.
하여튼 우리 관장님이 직원들 잘 격려 좀 해주시고, 또 의원도 좀 저희들도 응원해야 합니다, 하니까 정말 우리 또 한 해 동안 우리 시민들에게 정말 영화나 뭐 연극이며 우리 또 우리 남기호 위원장이 제일 많이 한 번도 안 빠지고 갔잖아.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대단하십니다.
○진후진 위원 나는 시민들 가기 위해서 일부러 내 안 갔어요, 그 자리에 내가 가면은 시민들을 한 분이 못 볼까 싶어 가지고 그래서 제가 예고편만 보고 내가 포스트만 보는데 하여튼 그만큼 고생한다는 걸 알기 때문에 우리 또 직원들한테 사기진작에 좀 저하되지 않도록 관장님 잘하시는 건 알고 있어요.
하여튼 자주 맛있는 거 사주고 해요.
하여튼 자주 맛있는 거 사주고 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알겠습니다.
○진후진 위원 이상입니다.
○김영숙 위원 우리 진후진 위원께서 물어봐서 안 하려고 하다가 저기 그 대공연장에 거기 보니까 뭐 1억이 증액됐네요, 내부 바닥 리모델링...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아 예, 이게 저희들이 지금 저기 전국에 최근래의 이제 객석이나 바닥을 교체하는 데를 위주로 다니고 있거든요.
그리고 인터넷으로 자료를 좀 보고 있는데 이게 좀 좋게 하려면 한도 끝도 없고 지금 우리가 앉는 의자가 15년 전에 그 교체할 때 15만 원을 줬더라구요, 단가가 하나에.... 지금은 최하 한 40만 원은 줘야 되고 100만 원, 120만 원까지 이렇게 되어 있더라고요.
그래서 우린 예산이 지금 700석으로 하게 되면 약 한 49만 원, 48만 원 정도 되는데 그래도 그중에서 최고 좋은 걸로 지금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지금 웬만한 의자들이 앉으면 이렇게 앞을 기울어가지고 굉장히 불편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고런 부분에서 저희들이 뭐 부득이 좀 증액을 약간 좀 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자료를 좀 보고 있는데 이게 좀 좋게 하려면 한도 끝도 없고 지금 우리가 앉는 의자가 15년 전에 그 교체할 때 15만 원을 줬더라구요, 단가가 하나에.... 지금은 최하 한 40만 원은 줘야 되고 100만 원, 120만 원까지 이렇게 되어 있더라고요.
그래서 우린 예산이 지금 700석으로 하게 되면 약 한 49만 원, 48만 원 정도 되는데 그래도 그중에서 최고 좋은 걸로 지금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지금 웬만한 의자들이 앉으면 이렇게 앞을 기울어가지고 굉장히 불편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고런 부분에서 저희들이 뭐 부득이 좀 증액을 약간 좀 했습니다.
○김영숙 위원 아, 예 알겠습니다.
뭐 이왕 하는 거 제대로 해야 되겠죠, 그거 바닥 재질이 뭐 이렇게 코르크라고 얘기했는데 그게 뭐 이렇게 먼지도 끼면 안 되고 사실 곰팡이도 쓸면 안 되고 미끄러워도 안 되잖아요.
뭐 이왕 하는 거 제대로 해야 되겠죠, 그거 바닥 재질이 뭐 이렇게 코르크라고 얘기했는데 그게 뭐 이렇게 먼지도 끼면 안 되고 사실 곰팡이도 쓸면 안 되고 미끄러워도 안 되잖아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아, 예 맞습니다.
○김영숙 위원 그런 거 뭐 다 괜찮습니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그거는 인제 저희들이 다른 지자체 내에 있는 그런 문화예술회관을 지금 방문해서 장단점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그냥 목재가 좋을지 코르크 성분이 들어간 게 더 좋을지 가격 차는 약간씩 나는데 밝게 보이는 거는 그냥 목재가 좋긴 좋더라구요, 환하고 근데 아마도 코르크 재질이 들어간 재질이 그게 우리나라 없고 포르투갈 재질이더라구요.
포르투갈에서 수입되는데 약간 좀 색이 어둡습니다.
그냥 목재가 좋을지 코르크 성분이 들어간 게 더 좋을지 가격 차는 약간씩 나는데 밝게 보이는 거는 그냥 목재가 좋긴 좋더라구요, 환하고 근데 아마도 코르크 재질이 들어간 재질이 그게 우리나라 없고 포르투갈 재질이더라구요.
포르투갈에서 수입되는데 약간 좀 색이 어둡습니다.
○김영숙 위원 아, 코르크가?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래서...
○김영숙 위원 그리고 그게 조금 무르지 않습니까, 원래 와인병에 쓰는 거 그거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충격을 흡수하는 개념이고, 마루는 충격을 흡수하지 않고 소리를 그대로 다 받아들이는데...
○김영숙 위원 그 대신에 또 소리가 날 수도 있고 미끄러울 수 있잖아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아주 미세하게 음향 부분이 좀 차별이 된다고 합니다, 음향이, 음향이 먹을 수도 있고 해가지고...
○김영숙 위원 뭐가 좋은지 하여튼 간에 잘 고려해서 좀 서울의 큰 예술의 전당 이런데 뭐가 쓰이는가 한 번 알아보시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래 하겠습니다.
○김영숙 위원 그렇게 하면 되고 의자는 색깔을 어떤 걸로 하시려고 그래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빨간색으로 좀 하려고요.
○김영숙 위원 빨간색...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위원님 좋은 색깔 있으시면 저희들 추천해 주세요.
빨간 게 아마 제일 무난하고 예, 그렇습니다.
빨간 게 아마 제일 무난하고 예, 그렇습니다.
○김영숙 위원 다크레드 같은...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다크레드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중앙도서관 밑에요.
○김영숙 위원 예, 그 주차장 하면 뭐 차가 몇 대 정도 더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전체 현재보다 약 한 26대 정도...
○김영숙 위원 26대...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저희들은 한 60대 더 늘어난 줄 알았더니 그 공사하면서...
○김영숙 위원 제가 지난번에 60대라 해서 조금 놀라워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런데 저희들이 처음에 60대인 줄 알고 있었는데 그 정도...
○김영숙 위원 예, 어떤 시민들은 그래요, 거기 뭐 멀쩡한데 좋은데 그걸 왜 하나 이러는데 아마 많이 좋아질 거라고 차도 많이 더 될 거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저기 문희아트홀 앞에 거기 차 대기가 굉장히 안 좋거든요, 주차가... 앞에 인제 넓적한 그 시계탑이 있는데 그 앞에가...
그리고 저기 문희아트홀 앞에 거기 차 대기가 굉장히 안 좋거든요, 주차가... 앞에 인제 넓적한 그 시계탑이 있는데 그 앞에가...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이번에 약간 보수를 하고 주차장을 그쪽에 한 20면 늘입니다.
○김영숙 위원 조금 더 늘려야 될 거 같아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김영숙 위원 주차장이 굉장히 불편해요, 문희아트홀 들어갈려면...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알겠습니다.
○김영숙 위원 다른 거는 됐고... 예, 이상입니다.
○고상범 위원 예, 과장님 수고하십니다.
참 예술회관은 제가 낮에는 거의 갈 일이 없더라구요.
항상 보면 행사가 밤에 이루어지다 보니까 저녁때 가끔 가보면은 좀 미안해요.
다 전부 다 퇴근해갖고 집에 가정에 돌아가야 되는데 시민들의 어떤 행복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가지고 늦게까지 일해주신 어떤 관장님과 직원 여러분께도 너무 미안한 부분도 있고 한편으로 너무 고맙고 하여튼 너무 고맙습니다.
누군가는 해야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앞장서 갖고 일해주심에 감사하고 항상 고맙습니다.
그리고 우리 지금 올해 24년도 그 우리 문화예술회관 도서관에서 책 구입이 얼마 정도 이루어졌죠, 그 총금액이 어느 정도 대충요.
참 예술회관은 제가 낮에는 거의 갈 일이 없더라구요.
항상 보면 행사가 밤에 이루어지다 보니까 저녁때 가끔 가보면은 좀 미안해요.
다 전부 다 퇴근해갖고 집에 가정에 돌아가야 되는데 시민들의 어떤 행복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가지고 늦게까지 일해주신 어떤 관장님과 직원 여러분께도 너무 미안한 부분도 있고 한편으로 너무 고맙고 하여튼 너무 고맙습니다.
누군가는 해야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앞장서 갖고 일해주심에 감사하고 항상 고맙습니다.
그리고 우리 지금 올해 24년도 그 우리 문화예술회관 도서관에서 책 구입이 얼마 정도 이루어졌죠, 그 총금액이 어느 정도 대충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대체적으로 도서관별로 한 3,000만 원씩 됩니다.
○고상범 위원 그러면 전체 금액은?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1억 가까이 지금 됩니다, 그 작은도서관 포함해서...
○고상범 위원 다 포함해가지고... 아 내년도 지금 올해 내년도 예산은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내년에는 1억 6,500입니다.
○고상범 위원 아 2억 가까이 되는 거 같더라고, 대충 봐도 뭐 한 2억 가까이 되는 거 같더라고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고상범 위원 많이 늘어나네요 그러면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그게 이제 우리 점촌도서관하고 가은분관에도 사실은 우리가 지금까지 뭐 한 번도 올리지 않았지만 계속 같은 금액으로 지원되고 있고 하고 그래 가지고 그 돈 합치면 그렇습니다.
○고상범 위원 아 그렇습니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고상범 위원 하여튼 그 구입하는 부분은 시내에서 다 구입하지 않습니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관내에서 합니다.
○고상범 위원 관내에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특수하게 뭐 있는 책자를 빼고는 뭐 99%는 거의 관내에서 합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아, 예 알겠습니다.
○고상범 위원 예, 고생하셨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예, 또 질의하실 위원님 계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예, 관장님! 제가 늘 가는 이유는 아시죠, 항상 물어봅니다, 시민들께... 시민들께 맹 과장님도 인사를 하시지만 저도 인사를 하면서 어떻냐, 좋았느냐 이번에 보터 그것도 한번 물어보니까 뭐 반 정도는 뭐 좋다고 그러고 여성분들은 좋다고 그랬는데 남자분들은 좀 그렇더라구요.
그래요, 우리 문희서포터즈 근무복이 25만 원 20명 2회 1,000만 원 잡아놨는데 이런 부분도 작고 그다음에 활동 지원금이 사실 좀 작아요.
뭐 9천 원 곱하기 8명, 8명이라면 돌아가면서 하니까 이렇게 8명이 일어났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예, 관장님! 제가 늘 가는 이유는 아시죠, 항상 물어봅니다, 시민들께... 시민들께 맹 과장님도 인사를 하시지만 저도 인사를 하면서 어떻냐, 좋았느냐 이번에 보터 그것도 한번 물어보니까 뭐 반 정도는 뭐 좋다고 그러고 여성분들은 좋다고 그랬는데 남자분들은 좀 그렇더라구요.
그래요, 우리 문희서포터즈 근무복이 25만 원 20명 2회 1,000만 원 잡아놨는데 이런 부분도 작고 그다음에 활동 지원금이 사실 좀 작아요.
뭐 9천 원 곱하기 8명, 8명이라면 돌아가면서 하니까 이렇게 8명이 일어났습니까?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행사 때마다 돌아가면서 나오십니다.
○위원장 남기호 그래요, 이런 부분도 뭐 인제 지원된다고 하는데 너무 작은 거 같아요.
그리고 이제 늘 고생하시는데 문화예술회관 운영 시책운영추진비라든지 이런 부분도 맨날 보면 김밥 드시고 이러더라구요, 보니깐 그죠, 그런 부분은 너무 작습니다.
그러니깐 이번에 뭐 내년도 예산에 우리 대공연 수선비라든지 계단 보수비라든지 이런 게 올라왔는데 완벽하게 그죠, 그렇게 해주시고요.
몇 군데 갔다 오셨지요?
그리고 이제 늘 고생하시는데 문화예술회관 운영 시책운영추진비라든지 이런 부분도 맨날 보면 김밥 드시고 이러더라구요, 보니깐 그죠, 그런 부분은 너무 작습니다.
그러니깐 이번에 뭐 내년도 예산에 우리 대공연 수선비라든지 계단 보수비라든지 이런 게 올라왔는데 완벽하게 그죠, 그렇게 해주시고요.
몇 군데 갔다 오셨지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지금 벌써 다녀왔고 또 다음 주에도 지금 몇 곳을 다닐 예정입니다.
○위원장 남기호 그래요, 좀 많이 다녀서 완벽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사실 완벽하게는 완벽히는 없거든요.
그러니까 좀 이렇게 최상급이 될 수 있도록 그렇게 해주시고요.
지금 우리가 작은도서관에 거기 배정이, 시간이 조정이 안 됐죠?
그러니까 좀 이렇게 최상급이 될 수 있도록 그렇게 해주시고요.
지금 우리가 작은도서관에 거기 배정이, 시간이 조정이 안 됐죠?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아직 안 됐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그게 좀 아쉽습니다, 사실적으로...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많이 좀 도와주십시오.
○위원장 남기호 아니 문희도서관이라든지 이런 시내 도서관은 사실적으로 야간이라든지 이런 시간 배정이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소외된 우리 작은도서관에는 주간에는 안 하고 오후에만 하잖아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그렇습니다.
○위원장 남기호 이런 부분이 좀 아쉽습니다.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위원장 남기호 우리 국장님도 나오시고 우리 예산부처에서 나오셨는데 이런 부분이 될 수 있도록 뭐 내년엔 안 되더라도 또 추경 때라도 혹시 될 수 있으면 좀 부탁을 드리고요.
○문화예술회관장 엄원식 예.
○위원장 남기호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시죠?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문화예술회관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토론을 마치겠습니다.
문화예술회관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예산안 예비심사를 모두 마쳤습니다.
안건심사를 위해 적극 협조해 주신 동료 위원님들과 집행부 관계 공무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제6차 총무위원회는 12월 10일 화요일 오전 10시에 개의하여 지난 며칠 동안 예비심사한 2025년도 문경시 일반회계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과 2025년도 문경시 총괄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계수조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제282회 문경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5차 총무위원회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님이 안 계시므로 문화예술회관 소관 예산안에 대한 질의 토론을 마치겠습니다.
문화예술회관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예산안 예비심사를 모두 마쳤습니다.
안건심사를 위해 적극 협조해 주신 동료 위원님들과 집행부 관계 공무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제6차 총무위원회는 12월 10일 화요일 오전 10시에 개의하여 지난 며칠 동안 예비심사한 2025년도 문경시 일반회계 및 기타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과 2025년도 문경시 총괄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하여 계수조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제282회 문경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5차 총무위원회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37 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