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에바란다
해양투기금지 | |||||
---|---|---|---|---|---|
작성자 | 김○○ | 작성일 | 2011-08-08 13:04:05 | 조회수 | 518 |
1.각 가정에서는 오늘도 음식물쓰레기, 생활오‧폐수(설거지,세탁,목욕,기타) 양돈농가에서
는 가축분뇨가 발생되어 수거업체 및 자체처리를 통하여 사료, 퇴비, 재활용, 해양투기, 기타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습니다. 만약 이들물질이 재대로 수거·처리가 안되면 지금 당장 우리생활에 큰 불편이 초래되고 폐기물대란이 발생되고 관련업체 또한 생산성에 큰 문제가 발생될 것 입니다. 2.선진국에서는 50~60년 전부터 해양투기 해오다 20년 전부터 금지해오고 있지만 우리나 라는 80년대 후반 해양투기가 시작되어 육상환경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여 강, 하천, 해 안이 깨끗해 졌습니다. 또한 해양 투기가 해양생태계 파괴 해수의 오염원이라는 보고서는 우리나라에서는 보 고 된적이 없습니다. 만약 있다면 환경단체 해양투기 해역 인접국 일본에서 가만히 있겠습니까? 3.해양 투기가 가장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등공신입니다. 하자가 발생합니까? 2차 처리에 대한 경제적 환경적 부담이 있습니까? 처리하는데 추가적인 시설, 가스, 유 류, 전기도 필요치고 않으며 CO2가 발생하지도 않습니다. 해양투기 후 환경이 깨끗해 졌 다는 것이 대부분 생각입니다. 선진국에서는 국토여건,육상처리기술, 시설 인푸라가 완벽하리만치 잘 구축되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미비하고 또한 위탁업체의 80%이상이 육상에서의 완벽한 처리시설이 완비될 때까지 해양투기금지를 유예해야 된다고 하는데 2012년부터 하수오니, 가축분뇨 2013년부터 해양투기금지를 입법화시킨다니 현실을 무시한 탁상행정입니다. 4.하수오니, 가축분뇨가 전체 해양배출량의 50%이상을 차지하는데 해양업체가 이제 모 두 폐업한다면 2012년 1월 부터는 나머지 음폐수, 폐수오니, 폐수도 해양투기가 안되어 폐 기물 대란이 발생할 것입니다. 4개월 후에 도산하나 지금당장 업계종사자들이 생존권 을 위하여 다른 업종으로 전환하여 포기하나 마찬가지입니다. 이후 발생되는 폐기물대란은 누구의 책임입니까? 이제 우리 종사자는 8월 9일 과천청사에서 해양투기 금지반대 집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문경 조령산 부봉 인명구조대원 이상인씨 |
---|---|
이전글 | 돈달산 등산로 입구 배수로 설치와 가로등 설치를 요합니다 |